이재명 SNS무대 컴백?…"도민소통" vs "정치활동" 해석분분

선거법재판 진행되며 사실상 '절필'…지난달 1심 무죄선고후 SNS 재개

여권의 잠재적 차기 대선후보로 거론되는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한동안 '절필 수준'으로 뜸했던 SNS 활동을 최근 재개한 것을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지난달 16일 1심 무죄 판결을 기점으로 뚜렷하게 달라진 이 지사의 이런 움직임을 두고, 도정에 집중하며 도민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쪽으로 보는 시각과 자신만의 '무기'로 정치 행보를 재개했다고 보는 시각이 교차한다.
이 지사는 1심 선고 다음 날인 지난달 17일 '5·18의 넋을 가슴에 새기고 공정한 세상 만들겠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리면서 SNS '침묵 모드'를 풀었다.

이후 이 지사는 "한반도 평화, 차근차근 밟아나갑니다"(5.22), "반칙과 특권 없는 세상. 사람 사는 세상"(5.23), "직장 내 꼰대 근절에 나섰습니다"(5.24), "방치되거나 학대받는 아동이 없도록 하겠습니다"(5.28), "평화와 경제를 위한 한중교류, 경기도가 나서겠습니다"(5.29), "전기요금도 똑같이 아껴야 공정하지요, 여러분도 관리소에 물어보세요"(6.1) 등 특유의 직설화법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내용들은 대체로 국가와 사회적 쟁점이나 담론과 관련한 묵직한 주제들이 대상이다.

지난해 지방선거 과정과 당선 이후 각종 의혹이 불거지고 수사와 재판이 이어지면서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는 SNS 활동을 사실상 접었던 것과는 대조적인 행보다.

이 지사의 달라진 모습은 이달 들어 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 갈등이 증폭되면서 더욱 적극적으로 이뤄지는 양상이다.이 지사는 지난 4일 페이스북에 올린 '차이를 넘어 단결해야'라는 글에서 "근자에 이재명 지지를 자처하며 당과 당원들을 공격하는 일이 빈발하고 있어 참으로 안타깝고 걱정스럽다"며 민주당 지지자들의 단합을 강조했다.

그래도 논란이 이어지자 같은 계정에 "정당은 국민의 그릇이라 물을 담으면 물그릇이, 밥을 담으면 밥그릇이 된다.

우리 안의 차이가 아무리 크다 한들 우리가 함께 이겨내야 할 상대와의 차이보다 클 수는 없다.우리는 작은 차이를 넘어 함께 가야 한다"는 내용의 글을 재차 올려 지지자들을 다독였다.

두 글은 각각 댓글만 800건과 300건 이상이 달리면서 반응이 뜨거웠다.

이와 관련, 경기도청 안팎에서는 이 지사가 SNS를 활용한 소통 행보를 당분간 강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다소 성격은 다르지만, 이 지사는 지난해 8월부터 각종 도정 행사 때 도청 SNS 계정으로 47회의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며 "크게 달라질 것은 없지만 소통 빈도와 폭이 확대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도민과의 소통을 명분으로 지지세력을 연대하고 외연을 확장하는 수단으로 SNS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로 이 지사는 SNS 플랫폼도 종전의 페이스북과 트위터 중심에서 핫플랫폼인 유튜브까지 확장할 움직임을 보인다.

그는 지난 3일 출입기자단 오찬 간담회에서 "요즘에는 아내와 시간 날 때마다 유튜브를 본다.

논병아리가 새끼를 13마리를 낳아서 6차선 도로를 횡단하는데 그거 보면서 재미있었다.

야간의 여유를 찾았다.

활동영역이 넓어진 측면도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주변에서는 출퇴근 시간과 야간 시간대를 이용해 예전처럼 소통을 지속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다만, 선거법에 제약을 받는 현역 지자체장이라는 점을 고려해 사안별로 활용 수위를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오는 27일 첫 재판기일이 잡힌 항소심의 전개 과정이 이런 흐름을 이어가는데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1심 재판 당시 점심시간을 포함한 일과 외 대부분을 재판 준비에 할애한 것을 고려할 때 항소심 양상에 따라서는 다시 '여유'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지사는 성남시장 때부터 SNS 중독을 언급하며 "스마트폰은 제 무기이자 방패다.

영향력 있는 언론이 안 다루는 문제들을 SNS를 통해 보다 더 친근하게 알리고 직접 다가설 수 있다"고 말할 정도로 SNS 애호가다.그의 지지팬클럽의 이름도 '손가락혁명군'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