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뒤늦게 北어선 NLL 감시 허점 보완
입력
수정
북한 어선 1척이 지난 15일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강원 삼척항 인근까지 표류할 때까지 군 감시망이 작동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군 당국이 “파고가 높았고, 선박의 움직임이 없어 제대로 포착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김준락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17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군의 자체 조사 사실을 밝힌 뒤 “어선 표류 당시 경비함정, 초계기, 작전헬기 등이 정상적으로 운용되는 등 전반적인 해상·해안 경계작전에는 문제가 없었다”면서 “다만, 소형 목선은 일부 탐지가 제한되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은 지난 15일부터 이틀간 동해안 경계를 맡은 관련 부대에 대해 조사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 어선 발견 당시 우리 군의 해안감시레이더에 미세하게 포착이 됐다”면서 “그러나 우리 감시요원들은 당시 파도가 일으키는 반사파로 인식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표류한 북한 어선은 높이 1.3m, 폭 2.5m, 길이 10m 규모다. 발견 당시 동해상의 파고는 1.5~2m였다. 합참 관계자는 “선박의 높이가 파고보다 낮아 레이더 감시요원들이 파도로 인한 반사파로 인식했다”면서 “당시 레이더 감시 요원들은 최선을 다했고, 특별한 근무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군이 해상에서 표류하는 북한 소형 선박을 식별하지 못한 사례는 2002년과 2009년 두 차례 있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올해에만 북한이 어선이 60여 차례 NLL을 넘어왔고, 오늘도 3척이 발견됐지만 모두 포착하고 조치를 취했다”며 “해상 감시 체계는 우려할 수준이 아니다”고 설명했다.국방부 관계자는 “어선의 미세한 흔적을 포착했던 해안레이더는 수명 주기가 지났기 때문에 성능을 개량할 계획”이라며 “해안레이더의 사각지대와 음영지대가 없도록 레이더 중첩구역을 최적화하겠다”고 말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
김준락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17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군의 자체 조사 사실을 밝힌 뒤 “어선 표류 당시 경비함정, 초계기, 작전헬기 등이 정상적으로 운용되는 등 전반적인 해상·해안 경계작전에는 문제가 없었다”면서 “다만, 소형 목선은 일부 탐지가 제한되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은 지난 15일부터 이틀간 동해안 경계를 맡은 관련 부대에 대해 조사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 어선 발견 당시 우리 군의 해안감시레이더에 미세하게 포착이 됐다”면서 “그러나 우리 감시요원들은 당시 파도가 일으키는 반사파로 인식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표류한 북한 어선은 높이 1.3m, 폭 2.5m, 길이 10m 규모다. 발견 당시 동해상의 파고는 1.5~2m였다. 합참 관계자는 “선박의 높이가 파고보다 낮아 레이더 감시요원들이 파도로 인한 반사파로 인식했다”면서 “당시 레이더 감시 요원들은 최선을 다했고, 특별한 근무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군이 해상에서 표류하는 북한 소형 선박을 식별하지 못한 사례는 2002년과 2009년 두 차례 있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올해에만 북한이 어선이 60여 차례 NLL을 넘어왔고, 오늘도 3척이 발견됐지만 모두 포착하고 조치를 취했다”며 “해상 감시 체계는 우려할 수준이 아니다”고 설명했다.국방부 관계자는 “어선의 미세한 흔적을 포착했던 해안레이더는 수명 주기가 지났기 때문에 성능을 개량할 계획”이라며 “해안레이더의 사각지대와 음영지대가 없도록 레이더 중첩구역을 최적화하겠다”고 말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