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가 1년 전에 비해 35만9천여개 늘면서 증가 폭을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근로 일자리는 정부 일자리 사업 등의 효과로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많이 늘었으나, 건설업과 사업·임대, 제조업 일자리는 감소세를 이어가며 산업별로 상황이 엇갈렸다.
통계청이 20일 공개한 '2018년 4분기(11월 기준)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 자료를 보면 작년 4분기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이하 일자리)는 1천849만4천개로 전년 동기보다 35만9천개(2.0%) 많았다.
전년 동기와 비교한 일자리 증가 폭은 작년 1분기(2월 기준) 31만5천개에서 2분기(5월 기준) 24만5천개, 3분기(8월 기준) 21만3천개로 계속 축소됐으나 4분기에는 커졌다.
작년 4분기 일자리 가운데 전년 동기와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천240만8천개(67.1%),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24만7천개(17.6%)였다.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84만개(15.4%)였고, 기업체 소멸 또는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48만1천개였다.
작년 4분기 일자리 증감을 산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11만4천개 늘었고 도·소매는 9만2천개, 전문·과학·기술은 4만6천개, 교육은 4만4천개 증가했다.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도 3만8천개 늘었고, 숙박·음식점업도 3만8천개 증가했다.
통계청은 정부의 일자리 관련 정책이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도소매업 분야 일자리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했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보건·사회복지 분야는 의료·보건 인력 수요가 증가해 50∼60대 여성 위주로 일자리가 많이 늘었고, 도·소매업은 생산이 계속 확대되면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늘어나 일자리 확대 통계로 잡혔다"고 말했다.
이어 일자리 증가 요인에 대해 "도소매업 생산이 경기 요인으로 증가했고, 정책적으로는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확대 시행으로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늘었으며, 제도적으로는 초단시간 근로자 중 한 달에 60시간 미만 근로자로 분류되는 이들의 근로보험 당연 가입 조건이 완화돼 생업 여부와 무관하게 고용보험 가입이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건설업은 일자리가 9만6천개 줄었고 사업·임대는 3만8천개, 제조업은 1만2천개 감소했다.
건설업 일자리를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 작년 1분기 3만5천개, 2분기 8만4천개, 3분기 11만3천개가 줄어들어 감소 폭이 확대됐으나, 4분기에는 감소세가 둔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