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욱의 일본경제워치] 엔화 값은 균형상태 근접한 반면 원화는 약세가 가장 심한 통화라는 日
입력
수정
올 1분기 주요국 통화의 달러화 대비 가치를 비교해 본 결과, 일본 엔화 값은 균형 환율에 근접한 반면 한국 원화는 10개 주요 통화 중 통화약세 정도가 가장 심하다는 일본 언론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일본 엔화 값이 균형 환율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무역 상대국에 대해 ‘통화 약세를 유도하고 있다’ 환율 문제를 무기화하는 것에 대항 논리를 만들기 위한 작업으로 보입니다. 달리 말하면 미국의 환율 공세에 한국이 일본 보다 더 취약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일본경제연구센터가 추계한 균형 환율에 근거해 올 1분기(1~3월)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 위안화 원화 등 주요 통화의 환율을 분석한 결과, 유로화와 태국 바트화를 제외한 8개 통화가 통화약세 상태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지난해 말까지 지속적으로 추진된 미국의 금리인상 결과, 달러화 회귀 현상이 빚어지면서 달러화 강세가 빚어졌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대부분 통화가 달러화 대비 약세를 보였지만 약세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로화는 달러화 대비 소폭 강세, 싱가포르달러와 엔화는 달러화 대비 소폭 약세를 보였지만 균형 환율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고 평가됐습니다. 참고로 올 1분기 달러화 대비 엔화값 균형 환율은 107.2엔으로 분석됐는데 26일 오전 9시 반 현재 달러당 엔화 값은 107.30~107.31엔 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로화도 균형 환율(1유로=1.13달러) 부근에서 줄곧 움직이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중국 위안화도 올 1분기에 평균 달러당 6.75위안을 기록 균형 환율(6.74위안)과 거의 일치했다는 평가입니다. 대만달러는 위안화보다도 평이 좋았습니다.
반면 올 1분기에 약세가 가장 심한 통화로는 한국 원화가 꼽혔습니다. 현재 원화 환율은 균형 환율을 7%가량 밑도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주력 산업인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수출 부진이 심화하면서 올 1분기에 한국이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등 경제가 부진을 보이면서 자금이 유출된 점을 주요 이유로 지목했습니다.원화에 이어선 영국 파운드화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EU)탈퇴) 등의 불안으로 균형 환율 대비 6%가량 저평가됐다는 지적입니다. 또 인도네시아 루피화도 균형 환율 보다 실제 환율이 4%가량 싸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인도네시아는 경제 펀더멘털이 불안해 외환시장이 투기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도 곁들였습니다. 말레이시아 링깃화 역시 이론상 균형치 대비 3%가량 저평가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아시아 통화 중에선 태국 바트화만이 균형 환율보다 고평가 된 것으로 지목됐습니다. 관광산업 호조에 따른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이어지고 있고, 물가상승률도 안정세를 보여 환율이 안정된 덕에 신흥국 투자자금을 끌어들이고 있다는 설명입니다.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번 균형 환율을 일정 기간 시장평균가에 각국의 물가, 금리차, 정부부채, 경상수지 등 경제 펀더멘털을 반영하는 지표를 가미해 산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일본 언론의 환율 분석을 살펴보면 다른 나라보다 심한 최근의 원화 약세는 한국경제의 상황이 객관적으로 좋지 않은 점이 반영돼 있으며, 수출증진을 위해 의도적으로 통화약세를 추진하고 있다는 미국 측 주장에 꼬투리를 잡힐 가능성도 높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비록 외국 언론의 분석이긴 하지만 앞으로 통상마찰에 환율이 주요 무기화되는 시점인 만큼, 한국도 이를 무시할 것이 아니라 경각심을 갖는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일본경제연구센터가 추계한 균형 환율에 근거해 올 1분기(1~3월)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 위안화 원화 등 주요 통화의 환율을 분석한 결과, 유로화와 태국 바트화를 제외한 8개 통화가 통화약세 상태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지난해 말까지 지속적으로 추진된 미국의 금리인상 결과, 달러화 회귀 현상이 빚어지면서 달러화 강세가 빚어졌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대부분 통화가 달러화 대비 약세를 보였지만 약세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로화는 달러화 대비 소폭 강세, 싱가포르달러와 엔화는 달러화 대비 소폭 약세를 보였지만 균형 환율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고 평가됐습니다. 참고로 올 1분기 달러화 대비 엔화값 균형 환율은 107.2엔으로 분석됐는데 26일 오전 9시 반 현재 달러당 엔화 값은 107.30~107.31엔 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로화도 균형 환율(1유로=1.13달러) 부근에서 줄곧 움직이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중국 위안화도 올 1분기에 평균 달러당 6.75위안을 기록 균형 환율(6.74위안)과 거의 일치했다는 평가입니다. 대만달러는 위안화보다도 평이 좋았습니다.
반면 올 1분기에 약세가 가장 심한 통화로는 한국 원화가 꼽혔습니다. 현재 원화 환율은 균형 환율을 7%가량 밑도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주력 산업인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수출 부진이 심화하면서 올 1분기에 한국이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등 경제가 부진을 보이면서 자금이 유출된 점을 주요 이유로 지목했습니다.원화에 이어선 영국 파운드화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EU)탈퇴) 등의 불안으로 균형 환율 대비 6%가량 저평가됐다는 지적입니다. 또 인도네시아 루피화도 균형 환율 보다 실제 환율이 4%가량 싸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인도네시아는 경제 펀더멘털이 불안해 외환시장이 투기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도 곁들였습니다. 말레이시아 링깃화 역시 이론상 균형치 대비 3%가량 저평가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아시아 통화 중에선 태국 바트화만이 균형 환율보다 고평가 된 것으로 지목됐습니다. 관광산업 호조에 따른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이어지고 있고, 물가상승률도 안정세를 보여 환율이 안정된 덕에 신흥국 투자자금을 끌어들이고 있다는 설명입니다.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번 균형 환율을 일정 기간 시장평균가에 각국의 물가, 금리차, 정부부채, 경상수지 등 경제 펀더멘털을 반영하는 지표를 가미해 산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일본 언론의 환율 분석을 살펴보면 다른 나라보다 심한 최근의 원화 약세는 한국경제의 상황이 객관적으로 좋지 않은 점이 반영돼 있으며, 수출증진을 위해 의도적으로 통화약세를 추진하고 있다는 미국 측 주장에 꼬투리를 잡힐 가능성도 높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비록 외국 언론의 분석이긴 하지만 앞으로 통상마찰에 환율이 주요 무기화되는 시점인 만큼, 한국도 이를 무시할 것이 아니라 경각심을 갖는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