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우 한국전쟁유업재단 이사장 "'잊혀진 전쟁' 안 되도록 6·25 교재 만들었죠"
입력
수정
지면A32
6·25 참전 1300명 인터뷰
6·25 교육 자료집, 미국서 발간
용사들 희생·미북회담까지 기술
미국 교사 1만5000명에게 배포

자료집 제작을 진두지휘한 한종우 한국전쟁유업재단 이사장(57·사진)은 “2012년부터 전 세계 6·25 참전용사 1300여 명을 인터뷰해 제작한 책”이라고 소개했다. 국가보훈처 지원을 받고 미국 사회·역사교사 연합체인 ‘미국사회과학 분야 교원협의회(NCSS)’와 공동으로 기획했다. 231쪽에 달하는 이 책은 전쟁 발발부터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 미국의 정치·사회에 끼친 영향, 한·미 동맹의 의미, 지난해 미·북 정상외교까지 집대성했다. 이 책은 미국의 일선교사 1만5000명에게 배포될 예정이다.

한 이사장은 “국제 사회에서 6·25가 ‘잊혀진 전쟁’으로 남아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역사 교사들은 6·25전쟁은 물론 한국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한다”며 “중국, 일본에서 나온 역사 자료집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우리가 만든 교육 자료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참전용사들의 평균 연령이 곧 90대로 접어드는 점도 고려했다. 한 이사장은 “참전용사들의 평균 연령은 약 88세로, 거동조차 어려운 분이 많다”며 “6·25전쟁이라는 우리의 자산을 잃어버리기 전에 디지털 자료로 보존해야 한다”고 했다.한 이사장은 “참전용사가 공공외교를 위한 최적의 민간 외교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참전용사들이 한국을 다시 방문했을 때 ‘상전벽해’의 변화에 놀라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며 “다른 나라의 국민이 한국을 좋게 얘기해주는 것만큼 훌륭한 공공외교는 없다”고 했다.
내년 6·25전쟁 70주년 프로그램도 준비하고 있다. 한 이사장은 “참전용사 인터뷰를 추가해 전쟁에 참전한 22개국의 총서를 만들 것”이라며 “70주년을 기리는 온라인 사이트도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