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 기로에 선 1주택자…'똘똘한 한 채' 세제 혜택 축소 D-6개월
입력
수정
내년부터 고가 1주택 장특공제 거주요건 강화
공제율 80→30%…非거주 주택 매각 전략 짜야
◆장특공제율 최대 80→30%28일 세무업계에 따르면 내년부터 1주택자가 실거래가 9억원 이상의 고가 주택을 양도할 때 주어지던 장기보유특별공제(장특공제) 혜택이 큰 폭으로 줄어들 예정이다. 거주기간 2년을 채우지 못하면 공제율이 대폭 감소한다. 지난해 ‘9·13 대책’ 직후 개정된 ‘소득세법 시행령’에 따른 것이다.
장특공제란 주택 보유 기간에 따라 양도세를 공제해주는 제도다. 3년 이상 보유했을 때부터 과세표준에서 공제를 받을 수 있다. 현행 장특공제 방식은 3년일 때 24%로 시작해 매년 8%포인트씩 오른다. 하루도 살지 못한 집이라도 10년 이상 보유만 한다면 양도세를 최대 80% 아낄 수 있다. 예컨대 2009년 1월1일 10억원에 집을 산 1주택자가 올해 12월31일 같은 집을 15억원에 팔 경우 양도세는 499만9500원이 된다. 10년 동안 보유한 덕에 공제율을 최대(80%)로 적용받기 때문이다.
◆“비과세+장특공제 함께 노려야”2년 거주 요건을 채운다면 내년 이후라도 장특공제율은 현행과 같다. 하지만 자신은 전세로 살면서 다른 집을 소유만 하고 있는 1주택 투자자라면 계산이 꼬인다. 세입자의 보증금을 돌려줄 보증금이 모자랄 경우 거주 요건 자체를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원종훈 KB국민은행 세무팀장은 “세법 상 1주택자의 가장 큰 장점은 양도가액 9억원까지 비과세가 적용된다는 점”이라며 “비거주 상태로 비과세와 장특공제 효과를 모두 받으려면 올해 안에 매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안에 집을 팔더라도 모든 1주택자가 비과세와 장특공제 혜택을 한꺼번에 받을 수 있는 건 아니다. 2년 전 ‘8·2 대책’을 통해 비과세 요건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2017년 8월3일 이후 조정대상지역에서 취득한 주택 또한 2년 거주 요건을 맞춰야 9억원까지 비과세를 받을 수 있다. 이날 이후 집을 산 1주택자가 하루도 살지 못한 집을 내년 매각한다면 차익을 한 푼도 공제받지 못한다.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세무팀장은 “기본 세율이 적용된다 하더라도 1주택자에게 주어지는 다양한 세제 혜택을 아무 것도 누리지 못한다”며 “이 경우 차라리 보유 기간을 늘려 장특공제율을 높이는 게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