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와 AI 접목이 제조 혁신…국가 플랫폼 구축 中企 지원할 것"
입력
수정
지면A18
박영선 중기부 장관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사진)은 8일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의 접목을 통해 제조혁신을 이루지 못하면 신산업은 국제경쟁력을 얻을 수 없다”고 말했다.
부품소재산업 육성 예산
중기부 관장 방안 논의
박 장관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출입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중기부가 어떤 역할을 했느냐고 물을 때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신산업 기반을 마련했다는 답이 나왔으면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그는 중소기업 정책의 변화와 관련, “그동안 스마트공장 보급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중소기업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채워나가야 한다”며 “그 핵심은 클라우드와 AI의 접목”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통해 쌓이는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축적하고 이를 AI를 통해 분석하는 플랫폼을 구축해 중소기업이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데이터 주권론’이란 화두도 던졌다. 박 장관은 “한국은 데이터 생산 세계 5위 국가지만 모든 정보가 아마존 구글 등 외국 기업에 집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은 자체적으로 AI 슈퍼컴퓨터를 개발했고, 중국은 구글과의 관계를 끊었다”며 “데이터가 권력인 시대에 우리도 데이터 주권론을 심각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다행히 한국엔 KT와 네이버가 클라우드를 연구하고 있다”며 “지금이 한국이 데이터산업에 뛰어들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한·일 무역분쟁과 관련해선 부품소재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예산권을 중기부가 가져와야 한다고 했다. 박 장관은 “부품소재 독립을 선언할 수 있는 주인공은 소재 개발에 집중하는 중소벤처기업”이라며 “산업통상자원부가 부품소재산업 연구개발(R&D) 예산을 편성해온 관행에 문제를 제기했다”고 했다. 주요 산업의 R&D 예산 편성권을 산업부가 가진 상황에서 부품소재 부문은 중기부가 가져오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설명이다.박 장관은 “주 52시간 근로제 확대 시행에 따른 중소기업 실태조사는 거의 마무리 단계”라며 “고용노동부와 논의해야 하는 부분만 남아있다”고 답했다. 실태조사는 애초 6월까지 마무리될 예정이었으나 지연되고 있다. 최저임금에 대해선 “최저임금위원회에 우리 부에서도 참석하고 있어 우리 입장이 충분히 전달됐을 것”이라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문재인 정부 들어 청에서 부로 승격된 중기부 조직에 대해 “정부 조직에서 우리 부를 바라보는 시각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아 안타깝다”며 “중기부 전체 조직을 점진적으로 바꿔나가겠다”고 말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