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키운다
입력
수정
지면A15
미래기술 연구과제 15개 선정삼성전자가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 관련 핵심 소재의 연구개발(R&D)을 적극 지원한다.삼성전자는 2019년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 지정테마 연구지원 과제 15개를 선정했다고 9일 발표했다.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은 기초과학, 소재기술, 정보통신기술(ICT) 등의 연구 분야에서 매년 세 차례 과제를 선정해 10년간 총 1조5000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자유 공모’ 형식의 연구지원 과제 선정은 반기에 한 번씩 이뤄진다. 삼성전자가 위촉한 심사위원단과 산업계의 의견을 반영해 결정하는 지정테마 연구지원 과제는 연 1회 선정된다. 사업이 시작된 2013년부터 지금까지 532개 연구과제에 6826억원이 투입됐다.올해 지정된 테마는 ‘혁신적인 반도체 소재 및 소자·공정 기술’,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슈머 로봇’, ‘진단 및 헬스케어 솔루션’ 등 4개 분야다. 지난 4일 시작된 일본 정부의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 여파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부문의 R&D 과제에 관한 관심이 크다.
낸드 100층 집적 등 R&D 지원
반도체 분야에선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100층 이상으로 집적하기 위한 신규 소재’(송윤흡 한양대 교수) 등 6개가 선정됐다. 송윤흡 교수의 연구는 회로를 100층 이상 쌓아 기존 낸드플래시가 가진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는 프로젝트다. 전압을 줄이는 절연체를 사용하는 등 메모리층과 채널층을 각각 새로운 소재로 대체할 계획이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김태경 홍익대 교수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청색 발광 소재의 효율 한계 극복’ 프로젝트가 눈에 띈다는 평가가 나온다. OLED는 밝은 화면과 뛰어난 명암비 때문에 스마트폰에 적용된다. 하지만 청색 형광 소재의 짧은 수명과 저효율이 과학계와 디스플레이업계의 숙제로 남아 있다. 김 교수의 연구는 기존 발광 재료에서 활용하지 않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해 기존 청색 형광 소재가 가진 효율성의 한계를 극복하는 프로젝트다.로봇 분야에서는 ‘로봇 피부에서 압력, 온도, 거리, 진동 등을 감지하는 말초신경계 광섬유센서 개발’(김창석 부산대 교수) 등 2건,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미세먼지를 크기와 종류별로 구별해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 기술’(유용상 KIST 교수) 등 2건이 선정됐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컴퓨팅 및 시스템 아키텍처’ 테마에서도 공모했지만 선정 과제는 없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차세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핵심 소재와 소자 부문을 집중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