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공공자전거인데…서울 '따릉이'가 수원 '반디클'보다 年운영비 3배 더 드네

따릉이 83만원 vs 반디클 28만원
'고비용 저효율'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요즘 서울의 거리에선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공자전거인 ‘따릉이’를 쉽게 볼 수 있다. 광화문, 서울시청, 마포역 일대 등 도심에선 퇴근시간 때는 대여하기 힘들 정도로 사용자가 많다. 10일 서울시에 따르면 ‘따릉이’의 하루 대여 건수는 4만여 건에 달한다. 지난해 하루 평균 2만7000여 건과 비교하면 50% 가까이 늘었다. 앱(응용프로그램) 가입자도 14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수원시 공유자전거 ‘반디클’도 사용 빈도는 따릉이와 비슷한 수준이다. 전체 수원 인구의 6분의 1인 29만 명이 공공자전거 앱에 가입했다. 하지만 서울시와 수원시의 공공자전거 서비스는 확연히 다르다. 서울시는 고비용 구조다. 서울시가 따릉이 유지·관리 등에 쓰는 연간 예산은 대당 83만원이다. 수원시는 27% 수준인 28만원에 불과하다. 자전거 가격도 따릉이가 71만원, 반디클이 23만원으로 3배 차이가 난다. 서울시는 따릉이를 직접 운영하지만 수원시는 중국 업체인 모바이크가 위탁받아 운영한다.
관리 예산은 3.6배, 자전거 가격도 3배 비싸

서울시는 올해 따릉이 관련 예산으로 총 324억8800만원을 투입한다. 새로 구입하는 따릉이 1만 대 비용을 제외하면 유지·관리비 등에만 207억원을 들인다. 현재 따릉이 2만5000대를 운영 중이란 점을 감안하면 따릉이 한 대당 83만원이 들어가는 셈이다. 서울시는 올해 상반기까지 따릉이로 44억원을 벌었다. 하반기 수익을 감안해도 200억원 이상의 적자가 불가피하다.

반디클
수원시는 공공자전거인 반디클의 구입과 운영을 모바이크에 전부 맡기고 있다. 올해 수원시가 부담하는 비용은 자전거주차장 관리와 안전교육에 들어가는 14억4000만원이 전부다. 모바이크가 자전거 5000대를 운영하는 점을 감안하면 한 대에 28만8000원을 투입하는 셈이다. 수원시는 모바이크로부터 사업위탁 대가로 자전거 한 대에 1만원씩 연 5000만원을 받는다. 수원시가 민간업체에 자전거 운영을 맡기고 있어 요금이 비쌀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다. 한 달 기준으로 반디클은 8000원, 따릉이는 7000원(하루 2시간)이다. 1시간 이용요금은 반디클이 1500원, 따릉이가 1000원이다.

서울시가 수원시에 비해 많은 예산을 들이고 있는 것은 우선 자전거 가격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모바이크가 중국에서 자전거를 생산해 한국으로 들여오는 데는 대당 200달러(약 23만원)가 들어간다. 따릉이 한 대는 71만원이다. 자전거 본체 가격 31만원에 액정표시장치(LCD) 단말기 40만원이다.

관리비용도 큰 차이가 난다. 따릉이는 별도 거치대가 필요한 반면 반디클은 필요 없다. 서울시는 총 1540개 대여소를 운영하고 있다. 대여소 한 곳당 구축비용이 588만원이나 된다. 지금까지 서울시가 대여소 구축에 들인 비용은 90억원이다. 반디클은 위치확인시스템(GPS)이 부착된 QR 단말기로 운영되기 때문에 실시간 위치파악이 가능해 별도 거치대가 없다. 그냥 길가에 둬도 된다.따릉이 수리비도 만만치 않다. 따릉이 전체 정비 건수는 2017년 2만8886건에서 지난해 6만3047건으로 늘어났다. LCD 단말기의 고장이 급증하는 추세다. 단말기 고장 건수는 2017년 3174건에서 지난해 1만1999건으로 4배 가까이 늘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전거 이용 건수가 6배 정도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수원시에선 모바이크가 자전거 정비비를 부담한다.

직영 vs 위탁

수원시도 처음에는 직영 방식을 검토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직영으로 자전거 800대를 운영하는 데 연간 57억원이 드는 것으로 추산됐다”며 “시민 편익은 그대로이면서 예산은 크게 아낄 수 있어 위탁 방식을 채택했다”고 설명했다.수원시는 처음에 길거리에 방치된 자전거가 많아 골머리를 앓았다. 모바이크는 자전거 배치팀을 별도로 구성하고, GPS를 활용해 반디클 수요가 많은 곳에 자전거를 재배치하는 등 민원을 직접 해결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분실률과 고장률을 합쳐도 3% 수준에 그친다”고 말했다. 수원시는 연말까지 자전거 운영 대수를 1만 대로 늘릴 계획이다.

민간에 위탁하는 방식이 지닌 단점은 자전거공유회사가 언제 철수하거나 파산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실제로 수원시에서는 모바이크와 함께 공공자전거 서비스를 제공하던 싱가포르의 오바이크가 철수하는 일이 있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전거는 대중교통수단의 하나이기 때문에 사업의 지속성이 중요하다”며 “공공이 직접 운영하는 편이 안정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신형 따릉이 도입에 나설 계획이다. 올해 66억원을 투입해 반디클처럼 QR 단말기를 부착한 신형 따릉이 5000대와 거치대 600개를 추가 구매하기로 했다. 가격이 비싸고 고장도 잦은 LCD 단말기를 QR 단말기로 대체하기 위해서다.하지만 2만5000대에 달하는 기존 따릉이가 새로 도입하는 시설과 호환이 안되는 탓에 시민 불편이 예상되고 있다. 구형 따릉이는 구조 자체가 달라 앞으로 서울시 전역에 추가로 설치되는 대여소에 주차할 수 없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