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갈등으로 시름 깊어지는 여행업계…방일 여행상품 예약은 3분의1로 급감, 취소는 70% 급증
입력
수정

한 여행사 관계자는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예약 취소가 10~20%씩 늘고 신규 예약은 평소의 절반 아래로 줄어든 상황”이라며 “위약금을 부담하더라도 일본여행을 취소하겠다는 고객이 느는 등 지난 주와 비교해 분위기가 확실히 달라졌다”고 설명했다.주요 여행사의 일본여행 상품 예약·취소 현황자료에 따르면 하루 평균 2500명, 월 평균 7만 명 안팎의 일본 여행상품을 판매하던 A여행사는 지난 8일부터 신규 예약이 평소의 3분의 1 수준인 800명 내외로 급감했다. 반면 취소는 예약 건수의 두 배에 가까운 1500여명에 달했다.

그동안 상황을 예의주시하던 여행업계는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우려가 현실이 됐다”며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일부에선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기대했던 해외 패키지여행 시장의 깜짝 반등은 “벌써 물 건너 갔다”는 반응도 나온다. 최근 2~3년간 이어진 일본여행 열풍에 힘입어 대부분 여행사의 일본 여행상품 비중은 적게는 20%에서 많게는 50%에 달하기 때문이다.지난주까지만 하더라도 여행업계는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가 여행수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독도 영유권 분쟁, 위안부 피해보상, 역사교과서 왜곡 등 그동안 일본과의 역사·외교 갈등에도 한국 내에 일본여행 붐은 지속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일(反日)감정이 고조되면서 일본여행 자제 분위기가 이례적으로 실제 상품판매 감소와 예약 취소로 이어지면서 이제는 실적 감소를 우려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한 온라인 직판 여행사 관계자는 “일본제품 불매운동, 반일감정 등 여론을 의식해 홋카이도 등 여름휴가철 막바지 모객을 위해 준비했던 일본 여행상품 특가할인, 기획전 등을 잠정 보류한 상태”라며 “당장 일본을 대신할 대체 여행지를 찾기도 쉽지 않아 올 여름 성수기는 실적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eonwoo.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