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출규제로 올해 성장률 1%대 될 수도"…10년 만에 최악 우려
입력
수정
지면A5
국가미래연구원 경고일본의 수출 보복 여파로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이 1%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민간 싱크탱크의 전망이 나왔다. 현실화되면 글로벌 금융위기로 0.7%에 머물렀던 2009년 이후 10년 만에 최악의 성장률을 기록하게 된다.
경기 둔화·'일본發 충격' 겹쳐
반도체 생산·수출 감소 땐
성장률 1.73~1.96%로 하강
![< 日 기업·대학들 '유학·취업 설명회' > 일본 기업 및 대학들이 공동 개최한 '일본유학·취업 종합설명회'가 1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다. 일본 유학을 희망하는 참가자들이 부스에서 상담하고 있다.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A.20092294.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A.20091753.1.jpg)
김 팀장은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레지스트, 에칭가스의 일본 수입 의존도가 각각 93.7%, 91.9%, 43.9%에 이른다”며 “일본산 제품의 품질 경쟁력이 높아 수입처를 다변화하기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미래 먹거리인 시스템 반도체 분야 타격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현 주력 제품인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는 상대적으로 일본 의존도가 낮은 에칭가스 1개 품목만 문제지만 시스템 반도체는 에칭가스뿐 아니라 일본이 시장의 90% 이상을 장악한 레지스트 수출 제한의 영향도 받기 때문이다.
김 팀장은 “일본이 수출 우대 혜택을 주는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방안도 추진 중인 만큼 향후 일본발(發) 경제보복 피해가 국내 산업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번 성장률을 전망하면서 ‘추가경정예산 효과’까지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김광두 원장은 “경제가 하반기에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런데도 정치인들은 내년 총선을 위해 서로 헐뜯는 데만 열중하고 있고, 집권여당은 돈풀리기 등 포퓰리즘 정책에 몰두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일본의 수출 규제가 당장 한국의 성장률을 끌어내릴 것이란 경고는 해외에서도 나오고 있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9일 “일본과의 무역마찰은 이미 대내외적으로 역풍에 직면한 한국 경제에 또 다른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2%에서 1.8%로 낮췄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2.4%에서 2.0%로 성장률을 낮춰 잡았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