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바이오, 베링거인겔하임과 11억유로 규모 기술수출
입력
수정
바이오벤처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글로벌 제약사와 1조5000억원대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브릿지바이오는 베링거인겔하임과 특발성 폐섬유증(IPF)를 포함하는 섬유화 간질성 폐질환 치료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명 BBT-877) 개발을 위한 협업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발표했다.
브릿지바이오는 계약금과 현재 진행 중인 임상 1상 및 관련 연구의 성공에 따라 지급되는 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로 4500만유로(약 600억원)을 받는다. 이후 임상 개발 및 허가·판매에 따라 최대 11억유로를, 상업화 이후에는 로열티를 받는다. 이같은 계약 규모는 국내 바이오벤처 중 최대 규모다.IPF는 폐기능 악화에 따라 호흡 곤란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전 세계 300만명이 앓고 있는 희귀질환이다. BBT-877은 섬유증을 비롯해 자가면역질환과 종양 등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오토택신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이다. 베링거인겔하임은 폐기능 감소를 지연시켜 질환 진행을 늦추는 약품인 오페브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업계에선 이번 계약이 베링거인겔하임의 섬유화 간질성 폐질환 파이프라인 확대 차원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는 “IPF 질환 선도기업인 베링거인겔하임과 파트너십을 맺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브릿지바이오의 혁신신약 후보물질이 신약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말했다.
베링거인겔하임과 1조5000억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에 성공한 브릿지바이오는 2015년 창업한 혁신신약 연구개발기업이다. 창업 당시 비연구개발전문(NRDO) 사업모델을 내세워 업계의 관심을 받았다. NRDO는 바이오벤처, 연구소, 학계 등에서 기초 탐색과정을 마친 초기 물질을 도입해 본격적으로 의약품을 개발하는 개념이다.초기 작은 규모의 바이오벤처의 조직적 효율성과 자금 효율 등을 고려했을 때 회사 핵심역량을 집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의약품 개발 기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브릿지바이오는 특발성 폐섬유증(BBT-877) 외에도 궤양성 대장염(BBT-401), 표적항암제(BBT-176) 등의 파이프라인(신약 후보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는 “바이오벤처들의 개발은 시간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라며 “임상시험수탁기관(CRO)과 일을 할 때 수수료를 깎는 데 실랑이를 하기보다 기일 준수를 엄격하게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브릿지바이오는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서 탈락했다. 지난해에 이은 두 번째 탈락이었다. 기술특례상장을 위해선 전문 평가기관의 기술성 평가에서 각각 A, BBB 이상을 받아야 하지만 브릿지바이오는 BBB, BBB 등급을 받았다. 일각에선 브릿지바이오가 자체 발굴한 파이프라인이 없다는 이유로 성장성 측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됐다.
브릿지바이오가 베링거인겔하임이라는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수출을 하면서 파이프라인의 개발 역량도 초기 발굴만큼 가치를 받을 수 있다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브릿지바이오는 최근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 있던 기업부설 연구소를 본사로 확충·흡수하면서 연구 기능을 강화했다. 기존에 개발하고 있는 파이프라인 외에도 자체 역량으로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겠다는 포석이다.브릿지바이오가 대규모 기술수출에 성공한 것을 두고 제약바이오 업계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벤처 사이의 기술이전이 기술수출까지 이뤄졌다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바이오벤처 오스코텍은 2015년 8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레이저티닙을 유한양행에 기술이전했다. 유한양행은 지난해 11월 얀센과 1조5000억원 규모의 레이저티닙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다. BBT-877 또한 브릿지바이오가 2017년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로부터 도입한 물질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레고켐바이오도 향후 개발 진도에 따라 이익을 나눠 갖게 된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선 생산기발 시설이나 실험실 같은 하드웨어 규모가 작은 기업에 대해 평가절하 하는 시선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브릿지바이오의 사례를 계기로 기술이전과 추가 개발 사업 모델에 대한 새로운 가치 평가 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
브릿지바이오는 계약금과 현재 진행 중인 임상 1상 및 관련 연구의 성공에 따라 지급되는 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로 4500만유로(약 600억원)을 받는다. 이후 임상 개발 및 허가·판매에 따라 최대 11억유로를, 상업화 이후에는 로열티를 받는다. 이같은 계약 규모는 국내 바이오벤처 중 최대 규모다.IPF는 폐기능 악화에 따라 호흡 곤란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전 세계 300만명이 앓고 있는 희귀질환이다. BBT-877은 섬유증을 비롯해 자가면역질환과 종양 등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오토택신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이다. 베링거인겔하임은 폐기능 감소를 지연시켜 질환 진행을 늦추는 약품인 오페브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업계에선 이번 계약이 베링거인겔하임의 섬유화 간질성 폐질환 파이프라인 확대 차원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는 “IPF 질환 선도기업인 베링거인겔하임과 파트너십을 맺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브릿지바이오의 혁신신약 후보물질이 신약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말했다.
베링거인겔하임과 1조5000억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에 성공한 브릿지바이오는 2015년 창업한 혁신신약 연구개발기업이다. 창업 당시 비연구개발전문(NRDO) 사업모델을 내세워 업계의 관심을 받았다. NRDO는 바이오벤처, 연구소, 학계 등에서 기초 탐색과정을 마친 초기 물질을 도입해 본격적으로 의약품을 개발하는 개념이다.초기 작은 규모의 바이오벤처의 조직적 효율성과 자금 효율 등을 고려했을 때 회사 핵심역량을 집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의약품 개발 기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브릿지바이오는 특발성 폐섬유증(BBT-877) 외에도 궤양성 대장염(BBT-401), 표적항암제(BBT-176) 등의 파이프라인(신약 후보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는 “바이오벤처들의 개발은 시간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라며 “임상시험수탁기관(CRO)과 일을 할 때 수수료를 깎는 데 실랑이를 하기보다 기일 준수를 엄격하게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브릿지바이오는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서 탈락했다. 지난해에 이은 두 번째 탈락이었다. 기술특례상장을 위해선 전문 평가기관의 기술성 평가에서 각각 A, BBB 이상을 받아야 하지만 브릿지바이오는 BBB, BBB 등급을 받았다. 일각에선 브릿지바이오가 자체 발굴한 파이프라인이 없다는 이유로 성장성 측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됐다.
브릿지바이오가 베링거인겔하임이라는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수출을 하면서 파이프라인의 개발 역량도 초기 발굴만큼 가치를 받을 수 있다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브릿지바이오는 최근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 있던 기업부설 연구소를 본사로 확충·흡수하면서 연구 기능을 강화했다. 기존에 개발하고 있는 파이프라인 외에도 자체 역량으로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겠다는 포석이다.브릿지바이오가 대규모 기술수출에 성공한 것을 두고 제약바이오 업계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벤처 사이의 기술이전이 기술수출까지 이뤄졌다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바이오벤처 오스코텍은 2015년 8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레이저티닙을 유한양행에 기술이전했다. 유한양행은 지난해 11월 얀센과 1조5000억원 규모의 레이저티닙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다. BBT-877 또한 브릿지바이오가 2017년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로부터 도입한 물질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레고켐바이오도 향후 개발 진도에 따라 이익을 나눠 갖게 된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선 생산기발 시설이나 실험실 같은 하드웨어 규모가 작은 기업에 대해 평가절하 하는 시선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브릿지바이오의 사례를 계기로 기술이전과 추가 개발 사업 모델에 대한 새로운 가치 평가 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