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외무, 美 제재해제 대가로 강화한 핵사찰 수용 제안"
입력
수정
미국과 이란의 핵(核) 대치가 갈수록 격화하는 가운데, 이란이 미국의 경제제재 해제를 전제로 더 강화한 핵사찰을 수용할 수 있다고 제한했다는 보도가 나와 관심을 끈다.
1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이날 뉴욕 주유엔 이란 대표부에서 기자들에게 "만약 트럼프가 더 많은 것을 원한다면 '추가적인 프로토콜'(의정서)을 승인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는 제재를 해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신의 제안을 '상당한 조치'라고 평가하면서 "사진 찍으러 온 게 아니다.
본질적인 것에 관심이 있다.
다른 상당한 조처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리프 장관이 언급한 '추가적인 프로토콜'이란 이란 핵 프로그램이 평화적으로 운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더 깊이 있는 사찰 권한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제안은 우라늄 농축 전면 중단 등 포괄적인 조처를 요구하는 미국이 만족할만한 수준이 될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미국 관리는 로이터 통신에 "미래에 핵무기를 획득할 능력을 유지하면서, 제재 완화의 가능성을 엿보려는 게 그들의 전략"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제안을 한 이란은 핵무기의 원료가 되는 핵분열성 물질 제조에 쓰이는 농축 우라늄을 보유하는 한편, 예멘,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등에서 자국 우호 세력을 제어하기 위해 아무런 노력도 기울이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미국 관리도 "이란이 진지한 상황을 원한다면 우선 우라늄 농축부터 중단하고 핵 탑재가 가능한 미사일 개발 등을 포함한 악의적인 핵 야심의 영구적인 종식을 위한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자리프 장관의 제안이 이란을 상대로 미국이 외교적 해법을 추구할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015년 핵 합의 과정에 참여했던 웬디 셔먼 전 미 국무부 차관은 "이란 의회가 추가적인 프로토콜을 승인한다는 외무장관의 제안은 엄청난 것이다.
이란 역시 그 대가로 상당한 것을 원할 것이다.
어쨌든 창의적인 시작"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란과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독일 등 주요 6개국이 2015년 타결한 핵 합의는 이란의 핵 개발 중단을 조건으로 그동안 서방이 이란에 부과해 온 경제제재를 해제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란의 핵무기 및 탄도미사일 개발을 금지한 8년이 지난 시점에는 이란 핵 프로그램에 대한 강도 높은 검증이 이뤄지고, 검증 결과를 토대로 이란에 대한 제재도 해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절차다.
그러나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핵 합의로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막을 수 없다며 작년 5월 합의 탈퇴를 선언하고 대(對)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이란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핵 합의를 탈퇴 1주년인 지난 5월 8일 '전략적 인내'를 끝내고, 핵 합의 이행 범위를 단계적으로 축소해가고 있다.
한편, 자리프 장관은 이란 혁명수비대가 석유 연료 밀수 혐의로 외국 유조선 1척을 억류했다는 발표에 대해 통상적인 순찰 및 단속 활동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억류된 선박은) 유조선이 아니라 작은 선박일 뿐이다.
수백만 배럴의 원유를 싣는 배가 아니라 수백만 리터의 석유 제품을 실은 배"라며 "이는 석유제품에 엄청난 보조금을 지급하는 우리가 페르시아만에서 늘 하는 일이다"고 말했다. 또 그는 유엔 본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미국이 이란 드론 격추에 대한 질문을 받고 "오늘 우리 드론을 잃었다는 정보가 없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1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이날 뉴욕 주유엔 이란 대표부에서 기자들에게 "만약 트럼프가 더 많은 것을 원한다면 '추가적인 프로토콜'(의정서)을 승인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는 제재를 해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신의 제안을 '상당한 조치'라고 평가하면서 "사진 찍으러 온 게 아니다.
본질적인 것에 관심이 있다.
다른 상당한 조처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리프 장관이 언급한 '추가적인 프로토콜'이란 이란 핵 프로그램이 평화적으로 운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더 깊이 있는 사찰 권한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제안은 우라늄 농축 전면 중단 등 포괄적인 조처를 요구하는 미국이 만족할만한 수준이 될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미국 관리는 로이터 통신에 "미래에 핵무기를 획득할 능력을 유지하면서, 제재 완화의 가능성을 엿보려는 게 그들의 전략"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제안을 한 이란은 핵무기의 원료가 되는 핵분열성 물질 제조에 쓰이는 농축 우라늄을 보유하는 한편, 예멘,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등에서 자국 우호 세력을 제어하기 위해 아무런 노력도 기울이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미국 관리도 "이란이 진지한 상황을 원한다면 우선 우라늄 농축부터 중단하고 핵 탑재가 가능한 미사일 개발 등을 포함한 악의적인 핵 야심의 영구적인 종식을 위한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자리프 장관의 제안이 이란을 상대로 미국이 외교적 해법을 추구할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015년 핵 합의 과정에 참여했던 웬디 셔먼 전 미 국무부 차관은 "이란 의회가 추가적인 프로토콜을 승인한다는 외무장관의 제안은 엄청난 것이다.
이란 역시 그 대가로 상당한 것을 원할 것이다.
어쨌든 창의적인 시작"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란과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독일 등 주요 6개국이 2015년 타결한 핵 합의는 이란의 핵 개발 중단을 조건으로 그동안 서방이 이란에 부과해 온 경제제재를 해제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란의 핵무기 및 탄도미사일 개발을 금지한 8년이 지난 시점에는 이란 핵 프로그램에 대한 강도 높은 검증이 이뤄지고, 검증 결과를 토대로 이란에 대한 제재도 해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절차다.
그러나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핵 합의로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막을 수 없다며 작년 5월 합의 탈퇴를 선언하고 대(對)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이란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핵 합의를 탈퇴 1주년인 지난 5월 8일 '전략적 인내'를 끝내고, 핵 합의 이행 범위를 단계적으로 축소해가고 있다.
한편, 자리프 장관은 이란 혁명수비대가 석유 연료 밀수 혐의로 외국 유조선 1척을 억류했다는 발표에 대해 통상적인 순찰 및 단속 활동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억류된 선박은) 유조선이 아니라 작은 선박일 뿐이다.
수백만 배럴의 원유를 싣는 배가 아니라 수백만 리터의 석유 제품을 실은 배"라며 "이는 석유제품에 엄청난 보조금을 지급하는 우리가 페르시아만에서 늘 하는 일이다"고 말했다. 또 그는 유엔 본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미국이 이란 드론 격추에 대한 질문을 받고 "오늘 우리 드론을 잃었다는 정보가 없다"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