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日 수출 규제에 美 현지 생산라인 확대 검토하나
입력
수정
일본 정부의 대(對)한국 소재 수출 규제로 인한 피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미국 현지 생산라인 확대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업계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미국 현지에 추가 투자할지 여부와 대상 분야, 이로 인한 이해득실 등을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트럼프 대통령이 방한 기간에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공장 등에 큰 관심을 보이며 미국에 대한 투자를 거듭 당부한 데 따른 것이다.
그는 당시 한국 경제인들과의 간담회에서 "우연히 어떤 건물 위를 비행했는데 내가 지금까지 본 가장 큰 건물들 가운데 하나였다"며 "그건 삼성이었다. 나는 거기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싶다"고 말했다.
방한 첫날 오산 공군기지에서 전용 헬기인 '마린원'을 타고 용산 미군기지에 내렸다가 청와대로 이동한 동선을 감안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건물은 삼성전자 화성캠퍼스로 추정된다.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에게 "미국에서 투자하고 사업을 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데 지금보다 좋은 때는 없다"며 각종 세제 혜택과 규제 개혁 등을 강조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유혹'에 따라 미국 추가 투자 방안을 검토하던 와중에 일본 아베 신조 정부가 소재 수출 규제라는 '횡포'에 나서면서 가능성은 더 커졌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본이 한국에 대한 일부 핵심 소재 수출을 규제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공장으로 향하는 물량도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국이 '피신처'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삼성전자가 투자를 결정할 경우 가장 먼저 거론될 수 있는 곳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법인이 있는 텍사스주 오스틴이다.
아울러 일본의 공격이 전방위로 확산하는 것에 대비해 지난해 준공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세탁기 공장에 이어 가전 생산라인을 추가 건설할 가능성도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추측이다.
다만 현지 공장 건설은 자금 상황을 비롯해 제품 수요, 업황 전망, 기술 유출 가능성, 현지 상황 등 여러 변수를 참작해야 한다는 점에서 당장 이를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삼성전자 관계자는 "당장 구체적으로 추진되는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우선 소재 확보를 통해 기존 생산라인 가동 차질을 최소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22일 업계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미국 현지에 추가 투자할지 여부와 대상 분야, 이로 인한 이해득실 등을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트럼프 대통령이 방한 기간에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공장 등에 큰 관심을 보이며 미국에 대한 투자를 거듭 당부한 데 따른 것이다.
그는 당시 한국 경제인들과의 간담회에서 "우연히 어떤 건물 위를 비행했는데 내가 지금까지 본 가장 큰 건물들 가운데 하나였다"며 "그건 삼성이었다. 나는 거기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싶다"고 말했다.
방한 첫날 오산 공군기지에서 전용 헬기인 '마린원'을 타고 용산 미군기지에 내렸다가 청와대로 이동한 동선을 감안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건물은 삼성전자 화성캠퍼스로 추정된다.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에게 "미국에서 투자하고 사업을 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데 지금보다 좋은 때는 없다"며 각종 세제 혜택과 규제 개혁 등을 강조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유혹'에 따라 미국 추가 투자 방안을 검토하던 와중에 일본 아베 신조 정부가 소재 수출 규제라는 '횡포'에 나서면서 가능성은 더 커졌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본이 한국에 대한 일부 핵심 소재 수출을 규제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공장으로 향하는 물량도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국이 '피신처'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삼성전자가 투자를 결정할 경우 가장 먼저 거론될 수 있는 곳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법인이 있는 텍사스주 오스틴이다.
아울러 일본의 공격이 전방위로 확산하는 것에 대비해 지난해 준공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세탁기 공장에 이어 가전 생산라인을 추가 건설할 가능성도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추측이다.
다만 현지 공장 건설은 자금 상황을 비롯해 제품 수요, 업황 전망, 기술 유출 가능성, 현지 상황 등 여러 변수를 참작해야 한다는 점에서 당장 이를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삼성전자 관계자는 "당장 구체적으로 추진되는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우선 소재 확보를 통해 기존 생산라인 가동 차질을 최소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