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사고픈 해외주식 1위는 '월트디즈니'
입력
수정
여름 휴가를 떠나기 앞서 매수하고 싶은 해외 주식으로 콘텐츠 왕국 월트 디즈니가 1위에 선정됐다. 자녀에게 물려주고 싶은 장기 투자 종목으로는 온라인 유통 최강자 아마존이 첫 손에 꼽혔다.
삼성증권은 최근 해외주식 투자 설명회에 참석한 일반 투자자 4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발표했다. ‘여름 휴가 전 사둘 만한 해외 주식’을 묻는 질문엔 디즈니가 응답률 20.9%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마이크로소프트(15.1%), 아마존(10.3%), 비자(9.1%), 우버·소프트뱅크(각 6.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디즈니는 세계 1위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 사업자 넷플릭스의 대항마로 ‘디즈니플러스’를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4월 발표하면서 주가가 급등세를 탔다. 디즈니는 4월 이후에만 30% 가량 상승해 23일(현지시간) 141.26달러에 장을 마쳤다.
디즈니가 올 들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알라딘’‘라이온킹’ 등 흥행 대작을 잇따라 선보이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설문에 참여한 한 투자자는 “최근 흥행한 영화가 디즈니 작품 일색인 것을 보고 영화 관람이 늘어나는 휴가철 투자처로 이만한 게 없다고 판단했다”며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변수의 영향을 덜 타는 소비주라는 점도 매력적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자녀에게 물려줄만한 장기 투자 주식’으로는 아마존을 선택한 투자자가 21.3%로 가장 많았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각 14.0%), 디즈니(11.8%)는 휴가철 투자처에 이어 장기 투자 종목으로도 꼽혔다.아마존은 미국 내 온라인 상거래 점유율 63%에 달하는 유통 최강자로 자리매김했다. 1997년 상장 당시 1.7달러였던 주가가 현재 1994.49달러까지 치솟았다. 대표 소프트웨어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도 클라우드 사업의 호조로 2015년 이후 주가가 꾸준하게 오르면서 연평균 15% 가량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투자 비중을 늘리고 싶은 지역’으로는 미국을 선택한 투자자가 53.1%를 차지했다. ‘해외주식 투자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다양한 형식의 투자정보’(72.7%)를 가장 많이 들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삼성증권은 최근 해외주식 투자 설명회에 참석한 일반 투자자 4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발표했다. ‘여름 휴가 전 사둘 만한 해외 주식’을 묻는 질문엔 디즈니가 응답률 20.9%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마이크로소프트(15.1%), 아마존(10.3%), 비자(9.1%), 우버·소프트뱅크(각 6.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디즈니는 세계 1위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 사업자 넷플릭스의 대항마로 ‘디즈니플러스’를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4월 발표하면서 주가가 급등세를 탔다. 디즈니는 4월 이후에만 30% 가량 상승해 23일(현지시간) 141.26달러에 장을 마쳤다.
디즈니가 올 들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알라딘’‘라이온킹’ 등 흥행 대작을 잇따라 선보이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설문에 참여한 한 투자자는 “최근 흥행한 영화가 디즈니 작품 일색인 것을 보고 영화 관람이 늘어나는 휴가철 투자처로 이만한 게 없다고 판단했다”며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변수의 영향을 덜 타는 소비주라는 점도 매력적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자녀에게 물려줄만한 장기 투자 주식’으로는 아마존을 선택한 투자자가 21.3%로 가장 많았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각 14.0%), 디즈니(11.8%)는 휴가철 투자처에 이어 장기 투자 종목으로도 꼽혔다.아마존은 미국 내 온라인 상거래 점유율 63%에 달하는 유통 최강자로 자리매김했다. 1997년 상장 당시 1.7달러였던 주가가 현재 1994.49달러까지 치솟았다. 대표 소프트웨어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도 클라우드 사업의 호조로 2015년 이후 주가가 꾸준하게 오르면서 연평균 15% 가량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투자 비중을 늘리고 싶은 지역’으로는 미국을 선택한 투자자가 53.1%를 차지했다. ‘해외주식 투자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다양한 형식의 투자정보’(72.7%)를 가장 많이 들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