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車 바람' 탄 일진복합소재…수소탱크 선제 투자 빛 봤다

현대車에 수소탱크 독점 공급
글로벌 완성차 업체 손 내밀어
수요 증가 대비해 공장 신축
김기현 일진복합소재 대표가 전북 완주 공장에서 수소탱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일진복합소재 제공
지난 23일 찾은 일진복합소재 완주 공장은 확장공사가 한창이었다. 공장부지 한쪽을 차지했던 잔디밭엔 공장 건물을 세우고 있었다. 주차타워를 짓고 남은 주차 부지에도 생산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로도 부족해 제2공장을 증설할 부지를 물색 중이다. 수소차 시장이 열리면서 일진복합소재가 압도적 경쟁력을 갖고 있는 수소차 연료탱크의 주문과 미래 수요를 맞추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수소탱크분야 글로벌 양강구도 굳혀
일진복합소재는 수소탱크 가운데 가장 진화한 형태인 ‘타입4’ 탱크를 생산한다. 기존에 많이 사용된 타입3 수소탱크는 알루미늄으로 용기를 제작해 가운데 부분을 접합하고 바깥을 탄소섬유로 감는다. 반면 타입4는 용기를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여기에 탄소섬유를 감는다. 기존보다 더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어 저장할 수 있는 수소 양이 많고 무게도 가볍다. 수소차 양산을 시작한 현대자동차에 독점 공급하는 이유다.

타입4 수소탱크를 생산할 수 있는 건 세계적으로 일진복합소재와 일본 도요타 두 곳뿐이다. 유럽 수소탱크 업체들은 내후년께야 소규모 양산이 가능할 것으로 업계는 예측한다. 내연기관 자동차시장의 강자인 미국과 유럽 자동차 기업들은 기존 이해관계 때문에 수소차 양산을 뒷전으로 미뤄왔기 때문이다.김기현 일진복합소재 대표는 “도요타는 자체 생산하는 차량에만 수소탱크를 공급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수소차 양산을 계획하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도 일진복합소재에 손을 내밀고 있다”고 밝혔다.

일진복합소재의 모태는 한국복합재료연구소다. 현대차와 손잡고 2003년부터 타입4 수소탱크 개발을 시작했다. 일진그룹은 2011년 수소저장용기 시장의 성장성을 내다보고 인수했다. 산업용 다이아몬드를 생산하는 일진다이아몬드의 자회사다. 김 대표는 “10년여 이상 적자만 내면서도 꾸준히 투자를 이어온 결과”라며 “유럽 업체들이 내년에야 타입4 수소탱크를 소규모 양산할 계획인 만큼 해외 업체와도 7~8년 이상 기술격차를 벌린 상태”라고 강조했다.

현대차에 수소탱크 독점공급
현대차가 수소차 생산을 늘리면서 일진복합소재의 실적 개선 및 성장 속도가 주목받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12월 수소차 로드맵을 공개하고 수소차 생산량을 내년 1만1000대, 2022년 4만 대, 2030년엔 50만 대까지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자동차 한 대에는 수소탱크가 세 개 들어간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일진복합소재가 앞으로도 현대차에 수소탱크를 독점공급할 것으로 가정하면 수소연료탱크 부문 매출이 내년 1000억원, 2027년엔 1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모회사인 일진다이아몬드는 지난달 12일 700억원 규모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600억원은 일진복합소재 생산설비를 늘리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제2공장은 2023년 생산 가동이 목표다.

김 대표는 “현대차뿐 아니라 다른 완성차 업체들의 수소차 양산이 가시화된다면 이번 유상증자 이후에도 추가로 자금을 조달해 설비를 늘려야 한다”며 “상장도 유력한 자금조달 방식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로 수소탱크 생산에 사용되는 탄소섬유 조달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는 가능성이 낮다고 일축했다. 일진복합소재는 일본 도레이에서 탄소섬유 원사를 대부분 수입한다. 이를 한국 공장에서 가공해 일진복합소재에 납품한다. 김 대표는 “현 단계에서는 아직 원사 수급에 문제가 없다”며 “만약 문제가 생겨도 미국과 프랑스 등에서 원사를 공급받는 등 공급처를 다원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적개선 이끄는 환경산업

일진복합소재는 수소탱크를 생산하는 용기사업 부문과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생산하는 환경사업 부문으로 나뉜다.

환경사업 부문도 최근 실적 개선을 이끌고 있다. 정부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에 미세먼지 저감장치 지원 예산을 편성했다. 추경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부착 지원 예산은 2370억원으로 본예산보다도 5배 많다.올해부터 바뀐 저감장치 부담금 정책도 일진복합소재 실적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 미세먼지 저감장치 부착 비용은 정부가 90%, 개인이 10%를 부담한다. 지난해까지 개인은 저감장치 비용을 폐차할 때 냈다. 문제는 중간에 차량 소유주가 바뀔 경우다. 첫 차주가 아니라 마지막 차주가 비용을 내는 구조여서 관련 민원이 빗발쳤다. 현실적으로 개인부담금이 거의 걷히지 않았던 이유다. 올해부턴 개인부담금이 차량을 구입할 때 내는 것으로 바뀌었다. 김 대표는 “기존 이익의 10%에 달하는 개인부담금은 대부분이 신규 수익”이라고 설명했다.

완주=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