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이슈 쏟아지자 치솟는 노무사 '몸값'
입력
수정
지면A10
올해 노무사 응시자 31%↑정부가 친노동정책을 쏟아내자 노동법률 전문가인 공인노무사들의 ‘몸값’이 치솟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A.20166483.1.jpg)
공인노무사는 기업들의 노동법 준수여부를 진단하고 노사관계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근로자를 대리해 임금체불과 부당해고 구제신청 등의 업무도 한다. 노무사업계에 따르면 최근 들어 임금을 받아달라는 근로자들의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지난해 임금체불 총액은 1조6472억원으로 전년 대비 19.3% 증가했다. 올 들어 5월까지 임금체불액도 7211억원에 이른다.
기업들은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과 주 52시간 근로제 확산에 따라 취업규칙을 정비하고 인사·노무 시스템을 손질하고 있다. 노무사 수요는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노무사 수요 증가에 대비해 선발인원을 늘리기로 했다. 지난해부터 최소 선발 인원을 250명에서 300명으로 확대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노무사를 ‘입도선매’하는 사례도 있다. 일부 대기업은 직원들에게 자격증 준비를 독려하며 교육비를 지원하고 있다.박정연 노무법인 마로 대표노무사는 “5인 미만 영세기업부터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노무사를 찾는 기업이 최근 1년 새 크게 늘었다”며 “특히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등의 시행으로 노동 관련 법률 자문 의뢰가 대폭 증가했다”고 말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