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환·김홍도가 그린 금강산에 빠져볼까
입력
수정
지면A30
국립중앙박물관 '실경산수화'展정조 12년(1788) 김응환(1742∼1789)과 김홍도(1745∼?)는 어명으로 약 50일간 영동 지방과 금강산을 함께 유람했다. 두 화가는 당시 감상한 풍경을 산수화로 남겼다.
지난 23일 개막한 국립중앙박물관의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특별전에선 두 화가가 그린 금강산 그림을 비교해 감상할 수 있다. 김홍도가 묵필로 묘사한 ‘해동명산도첩’과 김응환의 ‘해악전도첩’이다. 이수미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은 “김홍도가 꼼꼼하고 세세한 그림을 그렸다면, 김응환은 거침없는 필치로 붓을 놀렸다”며 “같은 풍경을 두 사람이 어떻게 다르게 표현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화풍은 다르지만 두 화가가 남긴 그림은 모두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에 속한다. 선조들은 자신이 직접 감상한 아름다운 산하를 화폭에 담았는데,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명승을 그린 그림을 실경산수화라고 한다.
이번 특별전은 국내외에 있는 실경산수화 360여 점을 한데 모아 실경산수 흐름을 살피고 창작 과정을 조명한다. 산수화를 단순히 진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화가가 경험한 실제 경치를 어떻게 그림으로 옮겼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화가들의 창작과정을 따라간다.
1부 ‘실재하는 산수를 그리다’에선 고려시대와 조선 전·중기 실경산수화의 전통과 제작 배경을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2부 ‘화가, 그곳에서 스케치하다’에선 김홍도와 김응환의 금강산 그림과 정수영(1743∼1797)이 남한강과 임진강을 유람하고 풍경을 스케치한 두루마리 초본을 전시한다. 3부에선 ‘실경을 재단하다’라는 주제로 화가가 작업실로 돌아와 초본과 답사 기억 등을 바탕으로 산과 계곡, 바다, 나무와 바위, 정자 등 자연 풍경 위치를 상상하며 재구성해 그들 시점과 작품 구도 간 관계를 짚어냈다. 4부에선 화가가 실경을 뛰어넘어 형태를 의도적으로 변형하거나 과감하게 채색하고 붓 대신 손가락과 손톱으로 그리는 등 경치를 재해석한 개성 넘치는 작품을 모았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우리 땅에 대한 조선 선비들의 열정과 사랑이 실경산수화를 통해 그려졌다”며 “외세에 시달리면서도 우리 강산을 보는 조선시대 화가들의 미감을 발견함으로써 정신사를 새롭게 음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1999년 금강산전 이후 20년 만에 북한 지역을 그린 산수화를 대거 선보인다”며 “통일에 대한 메시지도 전하는 자리”라고 덧붙였다. 전시는 9월 22일까지.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