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3년만에 최악 성적표…'메모리 감산' 체제 본격화

2분기 영업익 6천376억원으로 89% 감소…영업이익률 10% 하회
D램 생산능력 축소·낸드 웨이퍼 투입 15% 감축, M15·M16 투자 재검토
日 수출 규제 등 악재 산적…D램 가격 회복 등 '바닥 탈출' 기대감도
사진=AP
SK하이닉스가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 '다운턴(하락국면)'에 휩쓸리면서 3년 만에 가장 부진한 성적표를 써냈다.지난해 하반기에 이른바 '슈퍼호황'이 끝나면서 올 상반기 실적 악화가 어느 정도 예견되긴 했지만 시장 전망치도 크게 밑돌면서 당분간 2017년과 지난해의 실적 신기록을 다시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최근 일본의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 등의 악재로 인해 당초 기대했던 올 하반기 '바닥 탈출'도 불투명한 상황이 되면서 생산과 설비투자 조정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4∼6월)에 매출 6조4천522억원, 영업이익 6천376억원을 각각 올렸다고 25일 공시했다.매출액은 전분기(6조7천727억원)보다 5% 줄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10조3천705억원)에 비해서는 38%나 급감했다.

이는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던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6조4천724억원)보다도 적은 수치다.

영업이익은 전분기(1조3천665억원)보다 53%, 1년 전(5조5천739억원)보다는 무려 89% 줄어들었다.지난 2016년 2분기(4천529억원) 이후 3년 만에 가장 적은 흑자를 기록한 것이며, 분기 흑자가 1조원을 밑돈 것은 2016년 3분기(7천260억원) 이후 11분기 만에 처음이다.

증권사들의 실적 전망치 평균(6조4천300억원·7천400억원)과 비교하면 매출은 비슷했으나 영업이익은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영업이익률은 9.9%를 기록하며 전분기(20.2%)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 3분기(56.7%)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수치로, 수익성이 그만큼 급격히 악화한 셈이다.

이로써 SK하이닉스는 올 상반기에 13조2천249억원의 매출과 2조4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각각 31%와 80% 줄어든 수치다.

상반기 실적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은 메모리 제품의 수요 둔화로 인한 출하량 감소와 가격 급락 때문이다.

또 환율 요인과 재고 평가 손실 등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회사 측은 2분기 실적에 대해 "D램의 경우 수요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큰 모바일과 PC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데 힘입어 출하량이 전분기보다 13% 늘었으나 평균판매단가(ASP)가 24%나 떨어졌다"면서 "낸드플래시도 출하량은 40% 증가했지만 가격은 25%나 급락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수요 부진, 미중 무역분쟁 등의 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과 투자를 모두 조정하기로 했다.

우선 D램 사업의 생산능력을 오는 4분기부터 줄이기로 했다.

최근 성장세에 있는 CIS(CMOS 이미지 센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하반기부터 이천 M10 공장의 D램 설비를 CIS 양산용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낸드플래시 사업도 당초 올해 웨이퍼 투입량을 작년보다 10% 줄인다는 방침이었으나 이를 15%로 더 낮춰잡으면서 감산 폭을 확대했다.

특히 청주 M15 공장의 추가 클린룸 확보와 내년 하반기 준공 예정인 이천 M16 공장의 장비 반입 시기도 수요 상황을 고려해 재검토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SK하이닉스는 차세대 미세공정 기술 개발과 고용량·부가가치 중심의 제품 판매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다운턴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라고 밝혔다.

D램은 10나노급 1세대(1X) 및 2세대(1Y) 생산 비중을 올 연말 80%까지 높이고, 낸드플래시는 하반기부터 최첨단인 96단 4D 낸드 비중을 늘리는 동시에 128단 1Tb(테라비트) TCL(트리플 레벨 셀) 4D 낸드의 양산을 서두르기로 했다.회사 관계자는 하반기 전망과 관련, "PC와 그래픽용 D램 수요 회복세가 이어지고, 낸드플래시도 가격 하락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공급 업체들의 재고 부담이 줄어들면서 수급 불균형이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