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면세점, 매년 20% 고속성장…K뷰티 주요 판매 채널로 부상
입력
수정
지면B4
면세점 업황 분석국내 면세점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172억달러(약 19조원)다. 지난 10년 동안 매년 20% 성장했다. 과거엔 면세점 내국인과 외국인 고객 비중이 각각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2012년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대거 유입되면서 외국인 비중이 급격히 커졌다. 특히 3년 전부터는 국내 면세점에서 물건을 사서 중국 소매시장에 내다 파는 ‘따이궁(代工·보따리상)’이 늘어나면서 지난해 외국인의 면세점 매출 비중이 78%까지 높아졌다.
유정현 대신증권 연구위원

화장품은 국내 면세점산업이 성장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면세점 화장품 매출은 2016~2018년 연평균 31% 증가했다. 매출 비중은 2016년 51%에서 올해 62%로 높아졌다. 화장품 매출이 빠르게 늘어난 것은 한국 면세점의 가격 경쟁력 덕분이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중국인들의 화장품 소비가 뒷받침됐기 때문이다.
2018년 면세점 구매액을 나라별로 보면, 중국인이 쓴 돈이 73%(인원 비중은 27%)를 차지했다. 지난해 국내 면세점의 화장품 매출이 10조727억원(면세점 전체 매출의 62%)인데, 중국인이 구매한 액수가 약 8조~9조원으로 추정된다.이를 중국 소매 가격으로 환산하면 60조~65조원 규모다.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면세점을 거쳐 유통되는 화장품이 금액 기준으로 약 20%를 차지하는 셈이다. 이를 볼 때 중국의 한국 면세점 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우려는 성급해 보인다. 중국 화장품 시장의 한국 면세점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맥킨지가 중국 젊은 소비자의 명품 소비에 관해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명품 정보를 얻는 주요 채널로 응답자의 96%(복수 응답)가 ‘입소문’을 꼽았다. 94%는 ‘인플루언서’라고 답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보고서가 입소문의 범주에 따이궁을 별도로 언급했다는 점이다.
중국에서 따이궁과 인플루언서, 즉, 왕훙(網紅·인플루언서를 뜻하는 중국말)이 제품 마케팅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것은 새롭지 않은 사실이다. 중국 내 소비재 유통 구조에서 따이궁과 왕훙에게 한국 면세점이 주요 상품 공급원이 되고 있는 만큼 이 생태계에서 한국 면세점의 위상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한국 면세점은 따이궁과 왕훙의 주요 상품 공급원이다. 국내 면세점이 중국 소비재 공급의 도매 채널 역할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 체계가 바뀌려면 한국 면세점과 중국의 유통 가격 차이가 없어져야 한다.
현재 국내 면세점에서 유통되는 제품 가격은 중국 내수 유통 가격보다 평균 30% 이상 저렴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중국 면세점이 국영의 독점 구조로 높은 마진(이익률)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 인하를 통한 매출 경쟁을 하지 않는 탓이다.
junghyun.yu@daish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