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南 경고용' 이례적 언급…정부, 신중 속 상황 예의주시
입력
수정
김정은 "南당국자, 4·9월의 바른자세 되찾길"…文대통령 지칭
남북관계 경직 지속 불가피…정부 당국자 "차분·신중히 대처"
북한이 26일 전날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이 '남측을 향한 경고용'임을 직접적으로 밝힌 것 관련, 정부는 일단 신중한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남측이었다고 밝힌 것을 이례적으로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어느 정도의 의미가 있는지는 한 번 살펴봐야 할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과거에도 구체적으로 도발의 상대를 명시한 적이 있느냐는 취지의 질문에도 즉답하지 않은 채 "중요한 것은 이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긴장 완화 노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정부는 강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며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앞서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미사일 발사가 최신무기 반입·군사연습에 열을 올리는 남측에 '경고'를 보내기 위한 무력시위의 일환이었다고 주장했다.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사일 발사 현장에서 "남조선 당국자가 사태발전 전망의 위험성을 제때 깨닫고 최신무기반입이나 군사연습과 같은 자멸적 행위를 중단하고 하루빨리 지난해 4월과 9월과 같은 바른 자세를 되찾기 바란다는 권언을 남쪽을 향해 오늘의 위력시위사격 소식과 함께 알린다"고 발언했다고 소개했다.
'남조선 당국자'는 문재인 대통령을 지칭한 것으로, 이례적인 태도로 풀이된다.앞서 지난 5월 북한이 두 차례 감행한 단거리 미사일 발사 때도 김 위원장이 직접 참관했지만, 당시엔 특정 대상을 지칭하기보단 전투력 강화 훈련의 일환임을 강조했었다.김 위원장의 발언도 원론적 수준에 그쳤었다.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 소강국면이 이어지는 국면이긴 하지만, 지난달 30일 판문점 회동을 계기로 남북 정상 역시 재회해 손을 맞잡고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연출된 지 불과 한 달 만에 나온 김 위원장의 발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 최근 북한이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정부의 대북식량지원 계획에 대해 돌연 거부 움직임을 보이고, 북측에 억류된 한국인 선원들의 송환 문제와 관련해서도 묵묵부답을 이어가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결국 북한이 대남에 대한 불만을 지속해서 표출하는 동시에 대미 협상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남북관계 경색 국면 지속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부는 일단 즉각적인 반응을 하기보다는 상황을 지켜본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구축을 위해 남북정상이 합의한 남북공동선언을 철저히 이행해 나간다는 일관된 입장"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이어 "관련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남북관계와 북미관계가 선순환될 수 있도록 차분하고 신중히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연합뉴스
남북관계 경직 지속 불가피…정부 당국자 "차분·신중히 대처"
북한이 26일 전날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이 '남측을 향한 경고용'임을 직접적으로 밝힌 것 관련, 정부는 일단 신중한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남측이었다고 밝힌 것을 이례적으로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어느 정도의 의미가 있는지는 한 번 살펴봐야 할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과거에도 구체적으로 도발의 상대를 명시한 적이 있느냐는 취지의 질문에도 즉답하지 않은 채 "중요한 것은 이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긴장 완화 노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정부는 강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며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앞서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미사일 발사가 최신무기 반입·군사연습에 열을 올리는 남측에 '경고'를 보내기 위한 무력시위의 일환이었다고 주장했다.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사일 발사 현장에서 "남조선 당국자가 사태발전 전망의 위험성을 제때 깨닫고 최신무기반입이나 군사연습과 같은 자멸적 행위를 중단하고 하루빨리 지난해 4월과 9월과 같은 바른 자세를 되찾기 바란다는 권언을 남쪽을 향해 오늘의 위력시위사격 소식과 함께 알린다"고 발언했다고 소개했다.
'남조선 당국자'는 문재인 대통령을 지칭한 것으로, 이례적인 태도로 풀이된다.앞서 지난 5월 북한이 두 차례 감행한 단거리 미사일 발사 때도 김 위원장이 직접 참관했지만, 당시엔 특정 대상을 지칭하기보단 전투력 강화 훈련의 일환임을 강조했었다.김 위원장의 발언도 원론적 수준에 그쳤었다.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 소강국면이 이어지는 국면이긴 하지만, 지난달 30일 판문점 회동을 계기로 남북 정상 역시 재회해 손을 맞잡고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연출된 지 불과 한 달 만에 나온 김 위원장의 발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 최근 북한이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정부의 대북식량지원 계획에 대해 돌연 거부 움직임을 보이고, 북측에 억류된 한국인 선원들의 송환 문제와 관련해서도 묵묵부답을 이어가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결국 북한이 대남에 대한 불만을 지속해서 표출하는 동시에 대미 협상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남북관계 경색 국면 지속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부는 일단 즉각적인 반응을 하기보다는 상황을 지켜본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구축을 위해 남북정상이 합의한 남북공동선언을 철저히 이행해 나간다는 일관된 입장"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이어 "관련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남북관계와 북미관계가 선순환될 수 있도록 차분하고 신중히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