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김정은, 6·25전사자묘 참배…공연엔 김여정·최선희 대동
입력
수정
25일 탄도미사일 발사 참관 후 평양 귀환한 듯…시종일관 '굳은 표정'
김여정·최선희 '좌우 두번째' 착석…김영철은 참배 일정 수행 확인
탄도미사일 발사 참관 후 평양에 복귀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전협정 체결 66주년(북한은 전승절로 기념)을 맞아 6·25 전사자묘를 참배하고 기념공연을 관람하며 내부 결속을 다졌다.조선중앙통신은 28일 "김정은 동지께서 위대한 조국해방전쟁승리 66돌에 즈음하여 27일 오전 조국해방전쟁참전 열사묘를 찾으셨다"며 그의 헌화 및 참배 소식을 전했다.
'조국해방전쟁 참전열사묘'는 북한이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인 2013년 7월 평양시 연못동에 건설한 6·25전쟁 전사자 묘지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15년, 2017, 2018년에도 이 묘지를 참배했다.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위대한 수령님(김일성 주석)의 영도따라 비극적인 연대에 우리 조국을 존망의 위기에서 구원한 참전열사들의 불멸의 공헌은 조국청사에 길이 빛날 것"이라고 말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는 지난 21일 함경남도에서 지방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투표와 22일 함경남도 신포조선소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잠수함 건조시설 방문에 이어 25일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참관한 이후 평양으로 귀환한 것으로 보인다.
통신은 수행단을 호명하지 않았지만, 조선중앙TV가 이날 오후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김수길 총정치국장, 리영길 총참모장, 노광철 인민무력상 등 군부 인사와 리만건·김영철 당 부위원장, 조용원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등 6명이 함께 참배했다.김 위원장은 전승절을 맞아 국립교향악단의 '7·27 기념음악회'도 관람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날 북한 매체들이 공개한 사진 속 김 위원장은 평소 공연장 등에서 찍힌 사진이나 영상과 달리 유난히 굳은 표정이어서 눈길을 끈다.
통신은 이날 공연에 "리만건·박광호·리수용·김영철·조용원·김여정·최선희·양형섭·리명수·최영림 동지를 비롯한 전쟁노병들, 당중앙위원회 간부들, 공로자들, 중요예술단체 창작가, 예술인들, 청년학생들이 공연을 함께 보았다"고 호명했다.북한 매체들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의 경우 김 위원장 좌우로 각각 두번째 자리에 앉아 있었다.
특히 두 사람 모두 당 부위원장인 리수용·김영철보다 김 위원장과 더 가까운 자리에 착석해 '여성 실세 2인방'임을 재확인했다.
또 김영철 당 부위원장의 옆 자리에는 최 제1부상의 양아버지로 알려진 최영림 전 내각총리가 앉았다.
부녀지간이 나란히 김 위원장과 같은 줄에 자리한 셈이다.
반면 최 제1부상의 '직속상사'인 리용호 외무상은 불참했다.
리 외무상은 전날 보도된 평안남도 회창군에 있는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릉원 화환 전달식에는 리수용 당 부위원장 등과 동행한 바 있다.
이 밖에 '의전 담당 2인방'으로 추정되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과 현송월 당 부부장이 이날 공연장에서도 김 위원장의 뒷줄 한 켠에 나란히 자리한 모습이 포착됐다.6·25전쟁에서 미국에 맞서 싸워 이겼다고 주장하는 북한은 1973년 정전협정 체결일을 '조국해방전쟁 승리기념일'로 정한 데 이어 1996년에는 국가 명절인 '전승절'로 제정해 기념하면서 내부 결속의 중요한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여정·최선희 '좌우 두번째' 착석…김영철은 참배 일정 수행 확인
탄도미사일 발사 참관 후 평양에 복귀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전협정 체결 66주년(북한은 전승절로 기념)을 맞아 6·25 전사자묘를 참배하고 기념공연을 관람하며 내부 결속을 다졌다.조선중앙통신은 28일 "김정은 동지께서 위대한 조국해방전쟁승리 66돌에 즈음하여 27일 오전 조국해방전쟁참전 열사묘를 찾으셨다"며 그의 헌화 및 참배 소식을 전했다.
'조국해방전쟁 참전열사묘'는 북한이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인 2013년 7월 평양시 연못동에 건설한 6·25전쟁 전사자 묘지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15년, 2017, 2018년에도 이 묘지를 참배했다.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위대한 수령님(김일성 주석)의 영도따라 비극적인 연대에 우리 조국을 존망의 위기에서 구원한 참전열사들의 불멸의 공헌은 조국청사에 길이 빛날 것"이라고 말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는 지난 21일 함경남도에서 지방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투표와 22일 함경남도 신포조선소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잠수함 건조시설 방문에 이어 25일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참관한 이후 평양으로 귀환한 것으로 보인다.
통신은 수행단을 호명하지 않았지만, 조선중앙TV가 이날 오후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김수길 총정치국장, 리영길 총참모장, 노광철 인민무력상 등 군부 인사와 리만건·김영철 당 부위원장, 조용원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등 6명이 함께 참배했다.김 위원장은 전승절을 맞아 국립교향악단의 '7·27 기념음악회'도 관람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날 북한 매체들이 공개한 사진 속 김 위원장은 평소 공연장 등에서 찍힌 사진이나 영상과 달리 유난히 굳은 표정이어서 눈길을 끈다.
통신은 이날 공연에 "리만건·박광호·리수용·김영철·조용원·김여정·최선희·양형섭·리명수·최영림 동지를 비롯한 전쟁노병들, 당중앙위원회 간부들, 공로자들, 중요예술단체 창작가, 예술인들, 청년학생들이 공연을 함께 보았다"고 호명했다.북한 매체들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의 경우 김 위원장 좌우로 각각 두번째 자리에 앉아 있었다.
특히 두 사람 모두 당 부위원장인 리수용·김영철보다 김 위원장과 더 가까운 자리에 착석해 '여성 실세 2인방'임을 재확인했다.
또 김영철 당 부위원장의 옆 자리에는 최 제1부상의 양아버지로 알려진 최영림 전 내각총리가 앉았다.
부녀지간이 나란히 김 위원장과 같은 줄에 자리한 셈이다.
반면 최 제1부상의 '직속상사'인 리용호 외무상은 불참했다.
리 외무상은 전날 보도된 평안남도 회창군에 있는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릉원 화환 전달식에는 리수용 당 부위원장 등과 동행한 바 있다.
이 밖에 '의전 담당 2인방'으로 추정되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과 현송월 당 부부장이 이날 공연장에서도 김 위원장의 뒷줄 한 켠에 나란히 자리한 모습이 포착됐다.6·25전쟁에서 미국에 맞서 싸워 이겼다고 주장하는 북한은 1973년 정전협정 체결일을 '조국해방전쟁 승리기념일'로 정한 데 이어 1996년에는 국가 명절인 '전승절'로 제정해 기념하면서 내부 결속의 중요한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