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역사도 역사다"…일제 '조병창' 시설 최대한 보존키로

인천시, 부평 미군기지 추가 조사 통해 '역사문화공원' 조성
일제강점기 한강 이남 최대 일본군 군수물자 보급공장으로 불린 '육군 조병창'이 있었던 부평 미군기지 내 시설물들을 최대한 보존해 아픈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역사문화공원으로 조성한다. 인천시와 한국환경공단은 30일 발암물질인 다이옥신류 등에 오염된 인천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의 토양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미군기지 내 일제 육군 조병창 시설물들을 보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방부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의 위탁을 받아 최근 부평미군기지 정화작업에 착수한 한국환경공단은 문화재청과의 협의 과정에서 이들 시설물을 보존한 상태에서 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고 밝혔다.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정화구역 안에는 행정관, 탄약고, 굴뚝 2개, 초소, 게이트 등 6개 시설물이 있다"면서 "앞으로 지반조사를 통해 6개 시설물을 보존하면서 밑에 있는 토양을 정화하는 적합한 방식을 찾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환경공단의 '캠프마켓 기본정화계획 수립 기본설계 보고서'에 따르면 정화 대상 구역인 인천시 부평구 산곡동 캠프마켓 내 군수품재활용센터(DRMO)로 사용됐던 10만9천957㎡ 부지에는 모두 21개 시설이 있다.
인천시는 반환 예정인 미군기지를 근린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정화구역을 포함한 미군기지 터의 시설물들을 최대한 보존하는 방식으로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오염토양 정화작업을 거쳐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정화구역을 포함한 부평미군기지 44만5천여㎡를 인천시에 돌려줄 예정이다. 인천시는 토지 매입비 4천915억원 가운데 67%에 해당하는 3천270억원 납부를 완료한 상태다.

또 미군기지 인근 항봉산 일대에는 조병창의 군수물자 보관 목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지하호도 남아 있어 이와 연계해 미군기지 일대를 역사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최용규 부평미군기지 시민참여위원회 공동위원장(인천대 이사장)은 "내부 시설물을 최대한 보존한다는 데 위원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여러 분야 전문가와 함께 캠프마켓 내 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