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생산능력 역대 최대폭 감소…"日 수출규제 땐 더 꺾인다"
입력
수정
지면A8
통계청, 6월 산업활동 동향 발표올해 2분기 제조업 생산능력이 역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제조업 생산능력은 작년 1분기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전환한 뒤 6분기 연속 감소세인데, 올 2분기 들어 하락폭이 더 커졌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 여파로 수출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법인세 인상 등 반(反)기업적 정책이 제조업 경쟁력을 후퇴시켰다”며 “일본의 수출규제가 본격화하면 제조업 생산능력이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제조업 생산 6분기 연속 내리막
경기지표 석 달 만에 동반 하락
쪼그라드는 제조업 생산능력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19년 6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지난 2분기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1.3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1971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란 정상적인 조건에서 생산할 수 있는 국내 제조업의 최대 생산능력을 의미한다. 2015년을 기준선(100)으로 놓고 산출한다.전년 동기 대비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뒤 한 번도 줄지 않고 계속 증가하다 작년 1분기에 처음 감소세로 전환했다. 이후 6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월별로 보면 올해 6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1.3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 감소했다. 작년 8월부터 11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자동차(-4.1%) 기타운송장비(-11.5%) 전자부품(-6.1%) 등의 생산능력이 줄었다.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일본의 수출규제 상황이 반영되면 지표는 더 나빠질 것”이라며 “한국과 일본이 장기 보복전으로 치닫게 되면 경기가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서비스업도 부진
제조업 부진은 서비스업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 6월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107.0으로 전월 대비 1.0% 줄었다. 올해 2월 이후 4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전년 동월에 비해서는 0.1% 증가했다. 서비스업 중에서도 정보통신(-4.2%) 도·소매(-1.6%) 등의 생산이 전월 대비 감소했다.6월 전(全)산업생산지수는 106.4로 전월 대비 0.7% 감소했다. 전산업생산은 4월 0.9% 증가했다가 5월 0.3% 감소로 전환한 데 이어 두 달째 줄었다.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전월보다 1.6% 줄었다. 4월 1.2% 감소했다가 5월 0.9% 증가한 뒤 6월에 다시 줄어든 것이다.
소매판매 중에서도 승용차 등 내구재(-3.9%) 판매가 크게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신차들의 하반기 출시를 앞두고 대기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의복 등 준내구재(-2.0%),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3%) 판매 역시 모두 감소했다.6월 설비투자는 전달에 비해 0.4% 증가했다. 4월 4.4% 증가한 뒤 5월 7.1% 감소로 전환했다가 반등에 성공했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9.3%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월 대비 설비투자가 소폭 증가했지만 5월 설비투자가 워낙 큰 폭으로 감소한 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해석했다.
경기 살아날 기미 안 보여
문제는 앞으로도 경기가 살아날 기미가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6월 98.5를 기록해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작년 4월부터 13개월 연속 하락하던 이 지표는 올 5월 상승했다가 1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다. 5월 당시 이 지표가 개선되자 일각에선 하반기 경기 회복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지만 결국 ‘반짝 반등’에 그쳤다는 게 중론이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7.9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떨어졌다. 두 경기지표가 동반 하락한 것은 지난 3월 이후 3개월 만이다. 두 지표 모두 100을 기준으로 그 미만이면 추세에 비해 실제 경기가 좋지 않거나(동행) 좋지 않을 것(선행)이라고 해석한다.이인실 한국경제학회장(서강대 경제학대학원 교수)은 “주력 산업이 침체돼 다른 먹거리를 찾아야 하지만 대안인 서비스업 역시 상황이 좋지 않다”며 “세제 혜택 등 정부 지원이 제조업 위주로 이뤄지는데 서비스업 분야의 연구개발(R&D)에도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태훈/성수영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