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7개월째 0%대…통계청 "디플레 아닌 디스인플레이션"

7월 소비자물가 0.6% 상승…채소·석유류·집세·공공서비스 가격 하락 영향
정부 "서민 생활 밀접 부문 중심으로 물가 안정 노력"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개월 연속 0%대에 머물렀다.정부는 서민 생활과 밀접한 부문을 중심으로 물가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56(2015=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6% 상승했다.

전월 대비로는 0.3% 하락했다.전년비 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0.8%를 기록한 이래 7개월 연속 1%를 밑돌고 있다.

이는 2015년 2∼11월(10개월) 이후 최장 기록이다.

1∼7월 누계로는 0.6% 상승했다.이는 2015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통계청은 0%대 물가가 7개월 연속 이어지는 현상에 대해 '디플레이션'이 아닌 '디스인플레이션'이라고 설명했다.

디플레이션이란 초과 공급이 존재하는 경제 상황을 뜻한다.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물가는 내리고 기업의 수익은 감소하며 경제 전체가 불황으로 빠질 우려가 생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년가량 물가하락이 계속돼 경제가 침체되는 상태를 디플레이션으로 정의하고 있다.

디스인플레이션은 통상 인플레이션(초과 수요 존재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경제 조정 '정책'을 의미하지만, 통계청은 인플레이션이 떨어지는 저물가 '상태'를 지칭하는 데 이 용어를 썼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최근 상황에 대해 "저물가가 지속하는 '디스인플레이션'이라고 생각된다"며 "총체적 수요 감소에 따라 물가가 하락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기후변화와 석유류(유류세) 인하 등 외부요인, 집세와 공공서비스도 정책적인 측면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도 현재 상황이 양호한 기상 여건과 국제유가 안정과 같은 공급자 측 하방 요인과 건강보험 적용 확대 등 정책적 요인 등으로 0%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1년 전보다 0.3% 하락해 전체 물가를 0.02%포인트 끌어내렸다.

특히 지난해보다 기상여건이 나아지면서 채소류 가격이 6.4% 내렸고 축산물과 수산물 가격도 각각 2.7%, 0.2% 하락했다.

무 가격이 27.5% 떨어졌고 고구마(15.7%), 마늘(15.3%), 양파(14.6%), 돼지고기(10.8%) 가격도 두 자릿수 하락률을 보였다.

고구마 가격 하락 폭은 2016년 7월(18.3%) 이후 3년 만에 가장 컸다.

마늘은 2017년 6월(17.1%), 양파는 올해 3월(30.3%) 이후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공업제품은 보합 수준이었다.

석유류 물가는 1년 새 5.9% 하락했다.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 낮추는 효과를 냈다.

서비스 물가는 1.0% 상승했다.

전체 물가를 0.56%포인트 올렸다.

집세가 0.2% 하락했고 공공서비스가 0.1% 떨어졌다.

집세 가운데서도 전셋값이 보합 수준을 유지하며, 2006년 1월 0.1% 하락한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저 상승률을 기록했다.

월세는 0.4% 하락했다.

다만 외식 비용이 1년 전보다 1.8%, 가사도우미 등 외식 외 물가가 1.9% 상승하면서 개인 서비스 물가 역시 1.9% 상승했다.

지출목적별로는 가정용품·가사서비스가 2.1%, 음식·숙박이 1.7% 각각 상승했다.

반면 통신은 2.6%, 교통은 1.6% 하락했다.

해외단체여행비는 0.9% 내렸으나 일본 보이콧 영향이라기보다는 성수기 일수 감소에 따른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 과장은 "일본 관련 물가하락 확인은 아직 못했다"며 "샘플 조사라 특정 국가 상품의 가격 하락을 확인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1.6%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가 가능한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0.9% 상승했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0% 올랐다.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 상승해 7개월 연속 0%를 나타냈다.기재부 관계자는 "소비자물가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서민 생활과 밀접한 부문을 중심으로 여름철 기상 상황 등 불안 요인에 사전 대응하며 생활 물가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