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한·미 '핵 공유체제'는 선택 아닌 의무다
입력
수정
지면A30
전술핵 재배치 논의 대신최근 미국 국방대의 보고서가 북핵 위협 대처에 관한 담론에 불을 붙였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핵 포기 결단에 대한 회의론이 우세하다. 더욱이 북한은 핵 운반수단인 탄도미사일로 적대행위를 일삼고 있다. 지금 정부는 북한에 따끔한 경고 메시지조차 못 내고 있다. 동맹국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응은 미온적이다. 이런 와중에 핵 관련 직무를 수행하는 미국 장교들이 한·미·일 핵 공유체제의 필요성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核 운용의 한·미 협조 보장하는
'핵 공유체제' 강화하고
'한국형 3축체계' 구축 서둘러
독자 대처능력 키워야
류제승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부원장·前 국방부 정책실장 >
‘핵 공유체제’(Nuclear Sharing System) 란 미국이 동맹국 또는 우방국과 상호 합의에 따라 핵 운용의 계획·준비·실행 과정에 대한 협조를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를 말한다. 미국의 핵우산과 확장억제력의 실효성을 높여주는 핵심 안보기제다.그동안 한·미 양국은 점증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억제하기 위해 각고정려(刻苦精勵)했다고 평가한다. 한·미 국방부는 2010년 한미(확장)억제전략위원회(DSC: Deterrence Strategy Committee)를 설치했다. 이 회의체에서 다룬 중요 의제는 안보협의회의(SCM)에 상정돼 양국 장관의 승인을 거쳐 실행에 옮겨졌다. 억제전략위원회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고위참모그룹(HLG: High Level Group), 안보협의회의는 핵기획그룹(NPG: Nuclear Planning Group)의 위상과 기능에 비견되는 협의체다. 2016년에는 장관의 의사결정을 기민하게 보좌하기 위해 위기관리기능(KCM: KIDD ad hoc Consultation Mechanism)을 추가 설치했다.
이와 같은 협의체 운영을 통해 한·미 양국은 2013~2014년부터 한반도 상황조건에 ‘맞춤형’으로 억제전략과 대응작전(4D작전: Detect(탐지)-Disrupt(교란)-Destroy(파괴)-Defend(방어)) 개념을 정립해 적용했다. 이 개념을 토대로 다양한 대응수단의 확충을 숙의해왔다. 또 북한의 핵 사용 협박, 핵 사용 임박, 실제 핵 사용 등의 상황을 설정해 최적 대응 방안을 안출하는 방식으로 거부적·보복적 연합 억제력을 발전시켜왔다. 그럼에도 반드시 해야 할 일이 더 남아 있다.
지금은 이런 ‘제한적’ 핵 공유체제를 진화하는 데 힘써야 할 때다. 자체 핵무장과 전술핵 재배치에 관한 논쟁은 그다음이다. NATO의 핵심 사례는 우리에게 유익하다.NATO에서도 핵 운용을 위한 최종 결심은 미국 대통령만의 불가침 권한이다. 그러나 핵 투발 계획을 실행하기 전 시간이 허락하는 한 당사국과 상의하도록 규정돼 있다. 작전을 실행하기 직전에 계획을 공유하는 체제다. 나아가 당사국의 일부 전투기는 핵(B61-12 전술핵폭탄) 운반 능력과 대비태세를 유지하며, 주기적으로 미국 전략 폭격기(B-52·B-2)를 엄호하는 연습(SNOWCAT: Support to Nuclear Operation With Conventional Aircraft Training)도 시행하고 있다. 작전의 실행 과정을 공유하고 숙달하기 위해서다. 이런 관점에서 지금 실전 배치 중인 F-35의 활용도 적극 검토해볼 만하다.
전술핵의 한반도 재배치 문제는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무엇보다 북한의 비핵화를 강요할 명분을 잃어버릴 수 있다. 또 안전한 저장·관리가 부담스럽고 유사시 기지요원과 시설은 물론, 주변지역 주민의 생존성도 취약해진다. 마침 미국은 올가을부터 ‘저위력 열 핵탄두’(W76-2)를 핵잠수함의 탄도미사일 트라이던트에 장착해 핵 사용 옵션을 확장할 예정이다. 이 신형 무기는 어디에 있든지 적 중심을 정밀 타격함으로써 적의 대응과 확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북한 지도부가 인식하기에 가장 위협적인 수단이다. 여기에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한·미 핵 공유체제까지 강화한다면 북한의 핵 포기를 압박하는 효과가 배가될 것으로 확신한다.
결론적으로 한·미 또는 한·미·일 핵 공유체제는 우리 국가 안보를 위한 선택이 아니라 의무다. 우리의 자강노력인 ‘한국형 3축 체계’ 구축에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 북핵 위협의 초기단계, 즉 미국 전략자산 전개 전에 한국군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방위충분성’ 능력만큼은 갖춰야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