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길의 경제산책] "필리핀이 망고 안판다고 타격 있겠나"
입력
수정
정부는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간소화 국가) 배제 조치에 맞서 “우리도 일본을 화이트리스트에서 빼겠다”고 밝혔습니다. 일본과 똑같이 ‘눈에는 눈’ 전략을 쓰겠다는 겁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재 ‘전략물자 수출입고시’를 통해 일본 등 29개국을 사용자포괄수출허가 대상인 ‘화이트리스트’로 지정해 포괄 허가를 내주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일본 수출품목에 대해 건별 심사를 거쳐 허가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겁니다.우리의 맞대응 조치는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요.
분명한 건 내수 시장이 작고 자원이 별로 없는 우리나라는 수출주도형 경제인데 반해 일본은 내수위주 경제란 점입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한국은 40%대, 일본은 15%대이죠. 일본은 우리처럼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가 아닙니다.
정부는 일본의 무역규제에 따라 전략품목 1194개(일본의 수출 전략물자) 중 핵심인 159개가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집계했습니다. 이 품목은 대일 의존도와 파급효과가 높고, 국내외 대체 가능성은 낮은 겁니다. 일본의 정밀 소재·부품을 바탕으로 완제품을 대량 생산해 해외에 판매하는 경제 구조를 갖고 있는 상황에서 타격이 클 수밖에 없지요.반면 우리가 일본으로 가는 상품을 규제할 경우 일본에 ‘영향’을 끼칠 만한 품목은 총 14개로 조사됐습니다. 한국경제신문이 전략물자관리원과 한국무역협회 통계를 바탕으로 수입액 1000만달러, 일본의 한국산 수입 비중 50% 이상 품목을 전수 조사한 결과입니다. 품목 수가 매우 적지만 더 문제인 건 일본으로선 ‘필수품’이 아니란 겁니다. 얼마든지, 거의 즉각적으로 제3국 대체가 가능한 품목이 많습니다. 결국 일본을 상대로 수출규제에 나서면 우리 기업들만 더 어려워지고, 거래처만 끊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계시장 점유율이 70%에 달하는 D램 반도체나 낸드플래시는 어떨까요. 비메모리면 몰라도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대만이나 중국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또 일본의 작년 메모리반도체 수입액 중 한국 비중은 33.2%(한국기업의 중국공장 생산분 포함)에 불과했지요. 오히려 대만산 수입 비중(59.3%)이 훨씬 높았습니다.
정부는 일본이 대(對)한국 수출규제에 나서는 전략물자에 대해 관세를 낮추고, 세무조사를 유예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관리대상인 159개 품목에 대해선 보세구역 내 저장기간을 연장하는 한편 수입신고 지연 가산세도 면제하기로 했지요. 그런데 일본이 ‘안 팔겠다’는데 관세인하, 세무조사 유예, 수입지연 가산세 면제 등이 무슨 소용이 있을지 의문입니다.정부 조치의 효용성에 대해 한 공무원은 “사실 필리핀이 한국에 망고를 팔지 않겠다고 해서 한국이 타격을 받겠느냐. 우리도 화이트리스트에서 일본을 배제하겠다고 밝힌 건, 우리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걸로 해석해 달라.”고 했습니다.
외교·통상·경제 전문가들은 한·일 간 분쟁이 최소 1~2년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한국 정치권은 내년 총선, 일본 정치권은 평화헌법 개정이란 ‘정치적 목적’이 깔려있기 때문이란 진단입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상호 보복전이 확대되고 장기화하는 건 가장 불행한 일이다. 정부와 정치권은 상대에 대한 비난을 자제하고, 일본이 추가 조치를 취할 명분을 줘선 안된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재 ‘전략물자 수출입고시’를 통해 일본 등 29개국을 사용자포괄수출허가 대상인 ‘화이트리스트’로 지정해 포괄 허가를 내주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일본 수출품목에 대해 건별 심사를 거쳐 허가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겁니다.우리의 맞대응 조치는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요.
분명한 건 내수 시장이 작고 자원이 별로 없는 우리나라는 수출주도형 경제인데 반해 일본은 내수위주 경제란 점입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한국은 40%대, 일본은 15%대이죠. 일본은 우리처럼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가 아닙니다.
정부는 일본의 무역규제에 따라 전략품목 1194개(일본의 수출 전략물자) 중 핵심인 159개가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집계했습니다. 이 품목은 대일 의존도와 파급효과가 높고, 국내외 대체 가능성은 낮은 겁니다. 일본의 정밀 소재·부품을 바탕으로 완제품을 대량 생산해 해외에 판매하는 경제 구조를 갖고 있는 상황에서 타격이 클 수밖에 없지요.반면 우리가 일본으로 가는 상품을 규제할 경우 일본에 ‘영향’을 끼칠 만한 품목은 총 14개로 조사됐습니다. 한국경제신문이 전략물자관리원과 한국무역협회 통계를 바탕으로 수입액 1000만달러, 일본의 한국산 수입 비중 50% 이상 품목을 전수 조사한 결과입니다. 품목 수가 매우 적지만 더 문제인 건 일본으로선 ‘필수품’이 아니란 겁니다. 얼마든지, 거의 즉각적으로 제3국 대체가 가능한 품목이 많습니다. 결국 일본을 상대로 수출규제에 나서면 우리 기업들만 더 어려워지고, 거래처만 끊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계시장 점유율이 70%에 달하는 D램 반도체나 낸드플래시는 어떨까요. 비메모리면 몰라도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대만이나 중국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또 일본의 작년 메모리반도체 수입액 중 한국 비중은 33.2%(한국기업의 중국공장 생산분 포함)에 불과했지요. 오히려 대만산 수입 비중(59.3%)이 훨씬 높았습니다.
정부는 일본이 대(對)한국 수출규제에 나서는 전략물자에 대해 관세를 낮추고, 세무조사를 유예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관리대상인 159개 품목에 대해선 보세구역 내 저장기간을 연장하는 한편 수입신고 지연 가산세도 면제하기로 했지요. 그런데 일본이 ‘안 팔겠다’는데 관세인하, 세무조사 유예, 수입지연 가산세 면제 등이 무슨 소용이 있을지 의문입니다.정부 조치의 효용성에 대해 한 공무원은 “사실 필리핀이 한국에 망고를 팔지 않겠다고 해서 한국이 타격을 받겠느냐. 우리도 화이트리스트에서 일본을 배제하겠다고 밝힌 건, 우리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걸로 해석해 달라.”고 했습니다.
외교·통상·경제 전문가들은 한·일 간 분쟁이 최소 1~2년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한국 정치권은 내년 총선, 일본 정치권은 평화헌법 개정이란 ‘정치적 목적’이 깔려있기 때문이란 진단입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상호 보복전이 확대되고 장기화하는 건 가장 불행한 일이다. 정부와 정치권은 상대에 대한 비난을 자제하고, 일본이 추가 조치를 취할 명분을 줘선 안된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