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행안부가 왜 반대하는지는 몰라…알아보는 중" 진영 "재구조화 절차 합의 이뤄지지 않았고 여건 안 돼 있어"
박원순 서울시장은 행정안전부의 반대에 부닥쳐 제동이 걸린 서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와 관련해 자신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9일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다양한 경로로 (행안부와) 더 소통해보자는 것이 우리 입장"이라며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했다.
좀 더 (노력)해보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행안부의 반대는) 나도 이유를 알 수가 없다"며 "우리(서울시)가 경과를 다 설명했다. 거의 장관님과 제가 업무협약만 맺으면 될 정도로 다 정리했는데 갑자기 왜 표변했는지 모르겠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일단 한번 뵙자고 직접 목동(빗물펌프장 사고 현장)에서 (진영 행안부 장관에게) 얘기했다.
밤이고 낮이고 다 좋다고 했는데 아직 답이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청와대 개입설'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청와대를 비롯한 정치권이 박 시장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추진 일정에 다른 생각을 가졌다는 설도 흘러나온다.
박 시장은 "(청와대가 개입한다거나) 그럴 리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는 대통령 공약인 데다가 100대 국정과제다. 청와대의 광화문광장 이전은 무산돼도 재구조화는 그대로 간다고 천명된 바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날 진영 행안부 장관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에 대해 "국민과 아직 합의가 안 돼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진 장관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최근 행안부가 서울시에 사업 일정을 늦춰달라고 요청한 것과 관련해 "국민과의 합의가 필요한 사항이다"라며 "(사업) 절차를 진행할 그런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여건이 안 돼 있어서 공문을 하나 보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업에 대한) 국민적 합의와 설득이 없는 것 같다.
행정안전부로서는 그런 면을 잘 살펴야 한다"며 "살펴봐야 할 점이 많이 있다"고 강조했다.
진 장관은 박 시장의 만남 요청에 대해 "지금 당장 만나서 해결될 문제는 아니니까 상황을 더 보고 해야 한다"며 "만나는 자체가 목적이라면 어려울 것은 없다"고 밝혔다.
행안부가 서울시에 일정 연기를 요청하는 등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를 놓고 양측의 입장이 다시 대립하는 가운데, 국민을 상대로 사업 진행의 타당성을 납득시키는 과정이 선행돼야 추가 논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행안부와 서울시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발표된 지난 1월부터 갈등을 빚어왔다.
서울시가 새로운 광화문광장 설계안을 발표하자 행안부는 '설계안에 정부서울청사 일부 건물과 부지가 포함된 것은 합의된 바 없는 내용'이라며 반발했고 당시 행안부 장관이던 김부겸 의원과 박 시장이 공개적으로 반대의견을 내기도 했다.
두 기관은 5월 "큰 틀에서 합의했다"고 밝혔으나 진 장관이 지난달 25일 기자간담회에서 "논의는 많이 했는데 합의된 것은 없다"고 언급하면서 다시 불협화음을 노출했다.
행안부는 이어 지난달 30일 서울시에 보낸 공문에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의 총사업비 규모, 월대 복원사업, 교통 대책 등에 대해 국민들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공감을 얻은 뒤 사업에 착수해야 한다"면서 전반적 사업 일정 조정을 요구했다. 서울시는 이에 "행안부 요구사항을 다 수용해 실무적으로 반영했음에도 공문까지 보내 반대하는 이유를 납득하기 어렵다"며 행안부와 지속해서 협의해 일정대로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반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