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뒷걸음에 배당주 매력 '뿜뿜'…배당수익률 年 3~4% 종목도

예금금리 웃도는 배당수익률

연말 결산 배당금 포함하면
상장사 배당수익률 2% 중반

삼양옵틱스·유아이엘 등
중간배당 수익률 3%대 넘어
연말 3% 넘는 종목 많을 듯
미·중 무역분쟁과 일본 수출규제 등 악재로 국내 증시가 뒷걸음질치면서 배당주가 투자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주가 하락으로 배당수익률(주당 배당금/배당기준일 주가)이 높아진 데다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가 의결권 행사 지침) 도입 영향 덕에 상장사의 고배당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주요 고배당주 펀드에도 설정액이 꾸준히 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배당수익률 3~4% 종목 급증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중간배당을 실시한 종목(43개사)의 평균 배당수익률(9일 종가 기준)은 1.23%로 조사됐다. 연말 결산 배당금이 포함되면 국내 상장사의 배당수익률은 2%대 중반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1.2%대인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보다 높다. 현재 은행의 정기예금 기본 금리도 평균 1.5%에 못 미친다.

김재은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은 그동안 국채 10년물 금리가 배당수익률보다 높았지만 지난해부터 배당수익률이 장기채 금리를 웃도는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다”며 “선진국 사례를 보면 이 시점부터 배당주의 아웃퍼폼(상대적 강세) 현상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최근 국내 증시의 급락으로 연말까지 배당수익률이 연 3~4%에 이르는 종목이 늘어날 전망이다. 삼양옵틱스, 유아이엘은 중간배당 수익률이 각각 3.16%, 3.11%로 이미 3%대를 넘어섰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지난해 주당 5200원이었던 배당금이 올해 4833원까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최근 주가 하락으로 배당수익률은 2.46%(작년)에서 3.78%(9일 종가 기준)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금처럼 지수가 아래로 흐를 땐 시장보다 덜 빠지는 종목으로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런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변수는 배당”이라고 말했다.

경기 악화에도 중간배당을 늘리는 상장사가 적지 않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두산밥캣, 포스코, 하나금융지주, SK텔레콤, 웅진코웨이 등은 배당금을 지난해보다 늘렸다. 두산밥캣의 배당금은 지난해 401억원에서 올해 601억원으로 50% 증가했다. 올 2분기 영업이익이 15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포스코 SK텔레콤 등은 2분기 실적이 부진했지만 중간배당금은 늘렸다. 포스코는 2분기 영업이익이 1조6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7% 감소했지만 중간배당은 33.5% 증가한 1602억원을 책정했다.
○“실적 쇼크 종목은 피해야”

배당주에 대한 관심은 올 하반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김중원 현대차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주가가 조정을 받은 데 반해 주요 상장사의 배당 규모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배당주의 투자 매력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강송철 신한금융투자 연구원도 “2010년 이후 고배당주와 코스피지수 흐름을 비교해보면 6~10월은 고배당주 상승률이 코스피를 평균 0.6%포인트 웃돌았다”고 했다.

다만 실적에 따라 배당이 급격히 줄어들 가능성이 있는 종목에 대해서는 조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올해 중간배당이 주당 100원에 그친 에쓰오일이 대표적이다. 에쓰오일의 중간배당은 작년(600원)의 6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김상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에쓰오일은 2015~2017년 평균 배당수익률이 5%였으나 작년 국제유가와 정제마진 하락 탓에 이익이 줄면서 작년부터 배당수익률이 급락했다”며 “올해 코스피 순이익 컨센서스가 전년 대비 23% 감소할 전망이어서 ‘배당 쇼크’에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배당주 펀드도 대안 투자처로 꼽힌다. 주로 글로벌 우량주와 고배당주에 투자하면서 꾸준히 수익을 누릴 수 있는 펀드에 자금 유입이 계속되고 있다. ‘피델리티글로벌배당인컴펀드(재간접형)’는 연초에 비해 설정액이 1379억원가량 늘었다. 펀드 수익률도 연초에 비해 약 12%로 선방하고 있다. ‘베어링고배당플러스’ 펀드도 연초 대비 설정액이 609억원가량 늘었다. 강송철 연구원은 “실물자산으로 벌어들인 수익을 높은 배당으로 투자자들에게 환원하고 있는 상장 인프라펀드도 저금리 환경에서의 훌륭한 투자 대안”이라고 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