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미사일, 저고도 230㎞ 비행…'북한판 에이태킴스' 가능성
입력
수정
최대 비행속도 마하 6.1 이상…'한미연습' 겨냥 무력시위 수위 높인듯
軍, 추가발사 가능성 예의주시…'선(先) 북미-후(後) 남북' 행보 주목북한이 16일 아침 또다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북한의 발사체 발사는 이달 들어서만 4번째로, 현재 진행 중인 한미 연합연습을 겨냥한 무력시위라는 관측이 나온다.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은 오늘 오전 8시 1분경, 오전 8시16분경 북한이 강원도 통천 북방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들 발사체의 고도는 약 30㎞, 비행거리는 약 230㎞, 최대속도는 마하 6.1 이상으로 탐지됐다.군 당국자는 "북동 방향에 있는 특정 목표를 향해 발사됐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비행특성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이 지난 10일 처음 발사한 '북한판 에이태킴스'를 저고도로 다시 한번 시험발사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당시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2발이 발사된 이 미사일은 비행거리 400여km, 고도 48km, 속도 마하 6.1 이상으로 탐지됐다.이 전술 단거리 탄도 미사일은 사거리가 400km 이상으로 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두고 있다.
특히 최소 수백 개의 자탄을 탑재하고 있을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군의 에이태킴스는 950개의 자탄이 들어있어 축구장 3∼4개 크기 지역을 초토화할 수 있다.김동엽 경남대 교수는 "비행속도가 마하 6.1이 정확하다면 지난 10일 함흥에서 발사한 신형 전술무기일 가능성이 더 높다"며 "아직 개발 중이라 북한이 이번 하계훈련 중 수정·보완을 통한 완성에 필요한 유의미한 데이터를 획득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판 에이태킴스'는 북한이 올해 들어 최소 다섯번 시험 발사한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다연장 로켓)'와 함께 '신형무기 3종 세트'로 평가받는다.
군사 전문가들은 이 신형 무기들은 모두 신속 발사가 가능한 고체 연료, 이동식발사대(TEL)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앞으로 기존 액체연료 기반의 구형 스커드 단거리 미사일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한다.
북한이 미사일을 쏜 건 지난 10일 이후 엿새만으로 지난달 25일부터 따지면 3주 사이 모두 6번 발사했다.
올해 전체로는 8번째 발사다.북한의 이번 무력시위 역시 한미 연합연습에 대한 반발로 해석된다.
한미는 지난 11일부터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초점을 맞춘 올해 후반기 한미 연합연습을 진행하고 있다.
이 연습은 오는 20일까지 이어지며 17일부터는 '반격'을 위주로 한 2부 연습이 시작될 것으로 알려졌다.
통천군 일대는 군사분계선(MDL)에서 북방으로 약 50여㎞가량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곳이라는 점에서, 이번 시험발사는 한미훈련에 대한 무력시위 수위를 한층 끌어올린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은 2017년 8월 26일 한미 연합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엿새째 통천군에서 가까운 깃대령에서 3발의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한 바 있다.
깃대령에는 단거리 스커드, 중거리 노동미사일 등이 실전 배치된 미사일 기지가 있다.
일각에서는 통천군 일대에서의 발사체가 발사가 남북 군사합의를 위반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지만, 군 당국자는 군사합의 위반은 아니라고 밝혔다.
군사합의서에 명시된 적대행위 완충지대·구역(Buffer Zone) 범위는 지상의 경우 MDL을 기준으로 남북 10㎞다.
이 완충지대에서는 포병 사격과 연대급 이상 부대의 야외기동훈련이 전면 중지된다
최근 이어지고 있는 '선(先) 북미-후(後) 남북' 대외행보의 일환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이날 한미연합훈련과 최근 국방부가 발표한 국방중기계획 등을 거론하며 "우리는 남조선 당국자들과 더는 할 말도 없으며 다시 마주 앉을 생각도 없다"고 밝혔다.
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는 등 유화 제스처를 취하고 있는 것과는 대비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피력해왔다.군 당국은 현재 북한군의 하계훈련이 진행 중인 만큼 한미 연합연습이 진행되는 동안 추가 무력시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계속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軍, 추가발사 가능성 예의주시…'선(先) 북미-후(後) 남북' 행보 주목북한이 16일 아침 또다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북한의 발사체 발사는 이달 들어서만 4번째로, 현재 진행 중인 한미 연합연습을 겨냥한 무력시위라는 관측이 나온다.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은 오늘 오전 8시 1분경, 오전 8시16분경 북한이 강원도 통천 북방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들 발사체의 고도는 약 30㎞, 비행거리는 약 230㎞, 최대속도는 마하 6.1 이상으로 탐지됐다.군 당국자는 "북동 방향에 있는 특정 목표를 향해 발사됐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비행특성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이 지난 10일 처음 발사한 '북한판 에이태킴스'를 저고도로 다시 한번 시험발사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당시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2발이 발사된 이 미사일은 비행거리 400여km, 고도 48km, 속도 마하 6.1 이상으로 탐지됐다.이 전술 단거리 탄도 미사일은 사거리가 400km 이상으로 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두고 있다.
특히 최소 수백 개의 자탄을 탑재하고 있을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군의 에이태킴스는 950개의 자탄이 들어있어 축구장 3∼4개 크기 지역을 초토화할 수 있다.김동엽 경남대 교수는 "비행속도가 마하 6.1이 정확하다면 지난 10일 함흥에서 발사한 신형 전술무기일 가능성이 더 높다"며 "아직 개발 중이라 북한이 이번 하계훈련 중 수정·보완을 통한 완성에 필요한 유의미한 데이터를 획득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판 에이태킴스'는 북한이 올해 들어 최소 다섯번 시험 발사한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다연장 로켓)'와 함께 '신형무기 3종 세트'로 평가받는다.
군사 전문가들은 이 신형 무기들은 모두 신속 발사가 가능한 고체 연료, 이동식발사대(TEL)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앞으로 기존 액체연료 기반의 구형 스커드 단거리 미사일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한다.
북한이 미사일을 쏜 건 지난 10일 이후 엿새만으로 지난달 25일부터 따지면 3주 사이 모두 6번 발사했다.
올해 전체로는 8번째 발사다.북한의 이번 무력시위 역시 한미 연합연습에 대한 반발로 해석된다.
한미는 지난 11일부터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초점을 맞춘 올해 후반기 한미 연합연습을 진행하고 있다.
이 연습은 오는 20일까지 이어지며 17일부터는 '반격'을 위주로 한 2부 연습이 시작될 것으로 알려졌다.
통천군 일대는 군사분계선(MDL)에서 북방으로 약 50여㎞가량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곳이라는 점에서, 이번 시험발사는 한미훈련에 대한 무력시위 수위를 한층 끌어올린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은 2017년 8월 26일 한미 연합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엿새째 통천군에서 가까운 깃대령에서 3발의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한 바 있다.
깃대령에는 단거리 스커드, 중거리 노동미사일 등이 실전 배치된 미사일 기지가 있다.
일각에서는 통천군 일대에서의 발사체가 발사가 남북 군사합의를 위반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지만, 군 당국자는 군사합의 위반은 아니라고 밝혔다.
군사합의서에 명시된 적대행위 완충지대·구역(Buffer Zone) 범위는 지상의 경우 MDL을 기준으로 남북 10㎞다.
이 완충지대에서는 포병 사격과 연대급 이상 부대의 야외기동훈련이 전면 중지된다
최근 이어지고 있는 '선(先) 북미-후(後) 남북' 대외행보의 일환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이날 한미연합훈련과 최근 국방부가 발표한 국방중기계획 등을 거론하며 "우리는 남조선 당국자들과 더는 할 말도 없으며 다시 마주 앉을 생각도 없다"고 밝혔다.
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는 등 유화 제스처를 취하고 있는 것과는 대비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피력해왔다.군 당국은 현재 북한군의 하계훈련이 진행 중인 만큼 한미 연합연습이 진행되는 동안 추가 무력시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계속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