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등에 홍콩 경제 주저앉나…성장률 전망 0~1%로 하향

무역전쟁 이어 대규모 시위 사태에 금융·관광·항공 등 '직격탄'
홍콩 정부, 경기 살리려 3조원 규모 부양책 발표
미·중 무역전쟁에 이어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로 인한 타격이 홍콩 경제를 덮치면서 홍콩 경제에 드리운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1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폴 찬 홍콩 재무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을 하고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을 당초 '2∼3%'에서 '0∼1%'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상반기 4.1%에 달했던 홍콩의 성장률은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한 하반기부터 급격히 낮아져 3분기 2.8%, 4분기 1.2%를 기록하더니 올해 1분기 0.6%, 2분기 0.5%를 기록했다.

당초 2분기 성장률을 0.6%로 잠정 발표했던 홍콩 정부는 이날 확정치 발표에서 이를 0.5%로 낮췄다.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 3분기 이후 10년 만에 최악의 분기 성장률이다.

올해 2분기 GDP는 전 분기 대비로는 0.4% 감소했다.

찬 장관은 "미·중 무역긴장 고조와 '하드 브렉시트' 위험, 아시아의 산업 및 교역 활동 둔화 등이 영향을 미쳤다"며 "3분기에도 비슷한 속도로 둔화한다면 기술적 불황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홍콩 정부는 불황 위험에 맞서고자 191억 홍콩달러(약 3조원) 규모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발표했다.

이 부양책에는 소득세 감면, 노약자와 서민에 대한 복지 확대, 전기료 감면, 저소득층 임대료 감면, 유치원생부터 고등학생까지 학자금 보조, 중소기업 보조금 지급 등이 포함됐다.
홍콩 정부의 성장률 하향 조정과 대규모 부양책 발표에서 드러났듯이 홍콩 경제는 미·중 무역전쟁에 이은 송환법 반대 시위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아시아의 금융 허브'인 홍콩에서 금융산업은 홍콩 경제를 지탱하는 중요 산업 중 하나이지만, 최근 시위 사태 속에서 금융산업은 침체를 면치 못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거래소 중 하나인 홍콩거래소의 올해 기업공개(IPO)는 지난해보다 3분의 1가량 줄어 88건에 불과했으며, 자금모집액도 108억 달러로 55.9% 급감했다.

특히 송환법 시위가 본격화한 지난달 IPO는 15건에 지나지 않았고, 이달 들어서는 고작 1건의 IPO만 이뤄졌다.

이는 지난해 7월 33건, 8월 6건의 IPO가 이뤄진 것에 비해 심하게 감소한 것이다.

세계 최대 맥주 제조업체인 AB인베브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업체인 '버드와이저 브루잉'을 홍콩거래소에 상장하려던 계획을 지난달 철회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도 미국 뉴욕 증시에 이어 홍콩 증시에 2차 상장하려던 계획을 유보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

송환법 반대 시위대의 홍콩 국제공항 점거 시위로 '항공대란'이 벌어지면서 홍콩 경제의 또 다른 축인 관광, 컨벤션, 유통 산업 등에도 한파가 불어닥치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관리 회사인 블랙록 그룹은 다음 달 초 홍콩에서 개최하기로 예정했던 '아시아 미디어 포럼'을 내년 2월로 미뤘으며, 이밖에 소비재 엑스포나 음악회 등 많은 행사가 취소되거나 연기되고 있다.

홍콩 최대의 항공사인 캐세이퍼시픽은 앞으로 수달 동안 항공편 예약 건수가 예년보다 두 자릿수 감소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을 내놓았다.

이달 홍콩을 찾는 관광객 수가 지난해보다 절반 가까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며, 관광객 급감 등의 여파로 소매업체나 식당 등 서비스 부문도 심각한 매출 부진을 겪고 있다.

홍콩 재벌과 외국인 투자자들이 홍콩 내 자금을 빼내 동아시아 금융 중심의 자리를 놓고 홍콩과 경쟁하는 싱가포르로 이전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송환법 반대 시위가 갈수록 격화하고 중국 중앙정부의 무력개입 가능성까지 나오면서 하반기에는 홍콩 경제의 침체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는 관측마저 제기된다.홍콩 야당은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 발표를 비판하면서 "문제는 경제가 아니라 정치"라며 "홍콩 정부가 진심으로 경기 회복을 바란다면 정치적 위기를 먼저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