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쓰레기 대란' 코앞에…대책은 주민 설득뿐?
입력
수정
봉개동 주민들 수거차량 막아서…"매립장 운영 연장 더는 안돼"
19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회천쓰레기매립장 앞에 음식물쓰레기 수거 차량들이 한줄로 쭉 늘어섰다. 이 차량들은 새벽에 수거한 음식물을 이곳에서 처리하고 난 뒤 오후에 다시 수거에 나서야 하지만, 피켓과 현수막 등을 들고 나선 주민들에 가로막혀 멈춰설 수밖에 없었다.
주민들은 그동안 봉개동 쓰레기매립장 연장 운영에 3차례나 합의해줬음에도 또다시 행정이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제주시에 따르면 봉개동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은 2021년 10월 31일까지 서귀포시 색달동으로 옮길 예정이었지만, 기획재정부 적정성 검토 등 행정절차에 시일이 걸리면서 2023년 상반기에야 이설이 가능하게 됐다. 시는 봉개동 주민들을 설득하고 이해를 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며, 주민들은 더는 물러설 수 없다고 맞서고 있어서 해결은 쉽지 않아 보인다.
도내 최대 규모의 위생매립장인 봉개동 매립장은 1992년 8월부터 매립을 시작해 애초 2011년까지 사용하기로 돼 있었으나 행정당국과 주민대책위 간의 합의를 통해 운영 기간을 매립장 포화가 예상되는 2016년까지 연장했다.
그러나 2016년에도 봉개 매립장을 대체할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완공되지 않아 결국 봉개 매립장 용량을 늘려 2018년 5월 31일까지 사용하기로 한번 더 합의했다. 이후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준공 지연 등으로 2018년에 다시 한번 협약해 매립장을 2019년 10월 31일까지 연장 사용하고 재활용품·음식물처리시설은 2021년 10월 31일까지 사용하기로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서귀포시 색달동에 들어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준공이 2023년 상반기로 1년여 늦어지게 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결국 주민들이 이날 직접 수거차량 진입까지 막아서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지게 됐다.
주민대책위는 "매번 부득이하다는 사유를 들어 쓰레기 대란 발생을 막아달라는 행정의 요구에 공익적 측면을 고려해 연장에 합의하고, 기본권 침해를 참아냈다"며 "세번도 모자라 다시 연장을 요구하는 행정당국의 태도에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규탄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해 고희범 제주시장은 앞서 지난 16일 기자회견에서 "봉개동 주민들과 약속한 대로 2021년 10월 31일까지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을 이설할 수 없게 돼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고 시장은 "음식물처리시설 완공이 예정보다 늦어지고, 현 시설이 악취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서 주민들의 불만과 걱정은 이해되지만, 쓰레기 문제 해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양해해달라"며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봉개 매립장에 쌓여있는 압축폐기물 6만3천t 중 2만t은 올해 12월, 폐목재 1만3천t은 올해 11월까지 처리하고 잔여 물량도 최대한 빨리 처리하겠다는 계획도 설명했다.
그러나 결국 시는 주민들과 합의를 이뤄내지 못했고, 현재처럼 수거 차량이 계속해서 진입하지 못할 경우 쓰레기 대란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이미 지난 18일부터 대형 폐기물 배출 신청 접수가 중단되는 등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제주시는 임시방편으로 수거한 재활용품을 민간 위탁해 처리할 계획이며 가연성 쓰레기는 북부광역소각장에서 처리하지만,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봉개 매립장 외에는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을 설득해 쓰레기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9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회천쓰레기매립장 앞에 음식물쓰레기 수거 차량들이 한줄로 쭉 늘어섰다. 이 차량들은 새벽에 수거한 음식물을 이곳에서 처리하고 난 뒤 오후에 다시 수거에 나서야 하지만, 피켓과 현수막 등을 들고 나선 주민들에 가로막혀 멈춰설 수밖에 없었다.
주민들은 그동안 봉개동 쓰레기매립장 연장 운영에 3차례나 합의해줬음에도 또다시 행정이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제주시에 따르면 봉개동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은 2021년 10월 31일까지 서귀포시 색달동으로 옮길 예정이었지만, 기획재정부 적정성 검토 등 행정절차에 시일이 걸리면서 2023년 상반기에야 이설이 가능하게 됐다. 시는 봉개동 주민들을 설득하고 이해를 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며, 주민들은 더는 물러설 수 없다고 맞서고 있어서 해결은 쉽지 않아 보인다.
도내 최대 규모의 위생매립장인 봉개동 매립장은 1992년 8월부터 매립을 시작해 애초 2011년까지 사용하기로 돼 있었으나 행정당국과 주민대책위 간의 합의를 통해 운영 기간을 매립장 포화가 예상되는 2016년까지 연장했다.
그러나 2016년에도 봉개 매립장을 대체할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완공되지 않아 결국 봉개 매립장 용량을 늘려 2018년 5월 31일까지 사용하기로 한번 더 합의했다. 이후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준공 지연 등으로 2018년에 다시 한번 협약해 매립장을 2019년 10월 31일까지 연장 사용하고 재활용품·음식물처리시설은 2021년 10월 31일까지 사용하기로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서귀포시 색달동에 들어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준공이 2023년 상반기로 1년여 늦어지게 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결국 주민들이 이날 직접 수거차량 진입까지 막아서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지게 됐다.
주민대책위는 "매번 부득이하다는 사유를 들어 쓰레기 대란 발생을 막아달라는 행정의 요구에 공익적 측면을 고려해 연장에 합의하고, 기본권 침해를 참아냈다"며 "세번도 모자라 다시 연장을 요구하는 행정당국의 태도에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규탄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해 고희범 제주시장은 앞서 지난 16일 기자회견에서 "봉개동 주민들과 약속한 대로 2021년 10월 31일까지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을 이설할 수 없게 돼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고 시장은 "음식물처리시설 완공이 예정보다 늦어지고, 현 시설이 악취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서 주민들의 불만과 걱정은 이해되지만, 쓰레기 문제 해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양해해달라"며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봉개 매립장에 쌓여있는 압축폐기물 6만3천t 중 2만t은 올해 12월, 폐목재 1만3천t은 올해 11월까지 처리하고 잔여 물량도 최대한 빨리 처리하겠다는 계획도 설명했다.
그러나 결국 시는 주민들과 합의를 이뤄내지 못했고, 현재처럼 수거 차량이 계속해서 진입하지 못할 경우 쓰레기 대란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이미 지난 18일부터 대형 폐기물 배출 신청 접수가 중단되는 등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제주시는 임시방편으로 수거한 재활용품을 민간 위탁해 처리할 계획이며 가연성 쓰레기는 북부광역소각장에서 처리하지만,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봉개 매립장 외에는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을 설득해 쓰레기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