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외교장관 오늘 베이징 회동…한일 갈등 논의 주목

한중·한일 양자 회동도 예정…중국 중재 역할에 눈길
강경화, 한일갈등에 "상황 굉장히 어려워·우리 입장 적극 개진"
3국 외교장관, 올해 베이징서 정상회담 성사에 주력
한·중·일 외교장관이 20일 베이징(北京)에서 회동하기로 함에 따라 첨예해지고 있는 한일 갈등이 완화 쪽으로 방향을 트는 변곡점이 될지 주목된다.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함께 '제9차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를 하기 위해 이날 오전 베이징(北京) 서우두(首都) 공항에 도착했다.

첫날인 20일에는 회담 장소인 베이징 외곽 고북수진에서 3국 외교장관들이 참석하는 환영 만찬이 있고 21일 본 회담이 열린다.

이 기간 한중, 한일, 중일 간 양자 회담도 이뤄질 예정이다.이와 관련해 한중 외교장관 회담은 20일 오후로 확정됐다.

또한, 로이터통신은 일본 외무성 발표를 인용해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21일 열린다고 보도했다.

또한, 관례상 이들 외교장관은 회의가 끝난 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등 중국 지도부를 접견할 것으로 예상된다.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은 간쑤(甘肅)성 시찰 중이라 접견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번 3국 외교장관 회의는 3년여 만에 열리는 것으로 주된 목적은 올해 말 베이징에서 예정된 한·중·일 정상회담 개최를 성사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회의는 한일 외교장관이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연장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시한(8월 24일)과 일본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한국 배제조치 시행일(8월 28일)을 목전에 두고 만나는 계기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한일 양자 회담의 실제 개최 여부를 떠나 양국 외교 장관이 이번 회의 기간 내내 얼굴을 마주하게 돼 어떤 식으로든 한일 갈등 완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일 갈등 해결을 위한 대화 기조를 시사했고 일본 또한 강경 대응으로 일관해선 안 된다는 내부 기류가 있어 이번 한일 외교장관의 만남은 양국의 접점을 타진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인 셈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출국에 앞서 기자들에게 지소미아 연장 여부와 관련해 "아직 검토하고 있다.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혀 우리 정부는 한일 외교장관 회담 분위기 등을 보고 입장을 정할 것으로 보인다.

강 장관은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 대해선 "수출 규제 문제라든가 등에 대해서 입장을 적극적으로 개진할 준비를 하고 간다"면서 "우리 입장을 적극적으로 개진해야겠지만 참 어렵다는 무거운 마음을 가지고 간다"고 말했다.

앞서 한일 외교장관은 이달 초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당시 양자 회담을 했으나 현격한 입장차만 확인했고 이후 일본 정부가 백색국가에서 한국을 배제하는 결정을 내리면서 갈등은 더 커졌다.

베이징 소식통은 "이번 회의에서는 역내 협력뿐만 아니라 국제 정세도 논의한다"면서 "한반도와 자유무역 등도 논의 대상이며 최근 아세안 회의서 싱가포르 장관이 일본의 경제 보복을 비판하자 왕이 국무위원도 호응했던 사례도 있어 중국 입장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홍콩 및 무역 문제로 갈등 중인 중국으로선 일본과 한국을 끌어들여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과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을 완성하려고 해 중국이 한일 갈등의 중재자로 나설 수도 있다.
이를 반영하듯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보호무역주의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이 3자 및 양자 틀 안에서 한일 갈등의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다후이(黃大慧)인민대 교수는 "한일 간 긴장 고조는 3자 협력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면서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는 한국과 일본에 더욱 품위를 지키면서 물러설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3국 외교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올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성사와 더불어 북한 비핵화 및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 등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한·중·일 3국은 2008년 이래 7차례 별도 정상회의를 개최하며 협력을 추진 중이며, 현재 외교, 교육, 통상, 환경, 문화 등 21개 장관급 회의를 포함해 698개 정부 간 협의체를 운영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