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보도만큼은 구경거리 경쟁 아닌 협력 저널리즘으로"
입력
수정
국회서 KBS 주최 세미나…문의장 "재난방송 달라지면 재난관리 달라져" 지난 4월 속초·고성을 뒤덮은 화마에 재난주관방송사 KBS를 비롯한 국내 언론 보도는 낙제점으로 평가됐다. 이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노웅래 위원장과 KBS, 2·18안전문화재단은 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언론의 역할' 세미나를 열고 재난보도 시스템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기자 출신의 노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촉각을 다투는 재난 때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뤄진 한 건의 보도는 수천명의 목숨도 구할 수 있다"라며 "이제 언론은 재난보도를 전달하는 수동적 객체가 아니라 재난 예방부터 대응, 후속조치까지 이어지는 능동적 주체로서 전면에 나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문희상 국회의장 역시 축사를 통해 "재난방송이 달라지면 재난관리도 달라진다"라며 "위기가 발생했을 때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처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이고 발 빠르게 회복할 원동력도 된다"라고 밝혔다. 이에 정필모 KBS 부사장은 "지난 4월 강원 산불 당시 재난주관방송사로서 책무를 다하지 못했다"라고 인정한 뒤 "이후 전사적 역량을 동원해 재난방송 매뉴얼을 전면 개편하고 재난방송센터의 장비와 인력도 보강했다"라고 답했다.
이어 김현정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가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서 오늘날 재난보도가 재난 예방과 회복보다는 '사후 보도'에 급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발제를 위해 언론인, 공공기관 홍보담당자, 재난과 위기관리 연구자들을 심층 인터뷰했다. 김 교수는 "예방, 대비 같은 키워드가 들어간 기사보다는 '대응'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기사가 가장 많았다.
평소에는 재난 관련 보도를 하지 않다가 사고가 터지면 그때서야 대응상황을 주로 보도하는 언론의 관행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또 "복구와 회복 중에서도 복구가 더 많은 검색량을 보였다. 재난 이후에도 언론은 눈에 보이는 물질적 복구에만 관심을 두고 실제적으로 피해자의 심적, 육체적 회복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 현상"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이러한 보도 행태는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나 재난보도준칙 제정 이후로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여전히 사건 사고 중심 보도가 많고 재난 현장을 취재할 노련한 전문기자도 부족하다는 게 김 교수 주장이다.
다음 발제자로 나선 박성우 우송대 글로벌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기존 뉴스 미디어가 선호하는 시청자의 뉴스 읽기는 사건 발생 중심적 해독이었으나, 디지털 시대에는 맥락을 이해하는 해독으로 바뀌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페이스북 트렌딩 박스나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순위는 뉴스를 멀티플랫폼적 요소로 본다"라며 "취재와 보도가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유지, 통제, 강화될 수 있는 조건과 환경이 가장 중요한 현장성이 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재난보도가 특정 공영방송의 독점적 권위 유지보다는 지역, 시민, 단체, 현장, 독립 매체, 심지어 경쟁사 등과의 적극적인 연대와 협업으로 이뤄져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토론에는 정복덕 방송통신위원회 재난방송관리팀장, 김성한 KBS 재난방송센터 팀장, 노진철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 김여라 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이 참여했다.
정 팀장은 강원 산불을 계기로 20개 정부부처와 KBS가 참여하는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사회재난 방송 요청을 행정안전부로 일원화하는 방안, 방송사 재허가·승인 심사 시 재난방송 충실성 평가, 민관협업시스템 강화 등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김 팀장은 이에 "정부와 방송사가 늘 팽팽한 긴장관계를 유지하지만 재난 때는 신속한 정보가 필요하다.
양측의 신뢰 회복과 협업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노 교수는 "복구 시기에 대한 보도가 정치화된 재난에만 집중되는 게 문제"라고 짚었고, 김 조사관은 "재난보도 만큼은 기존 언론이 추구하는 경쟁식 저널리즘이 아니라 협력하는 저널리즘이 돼야 한다. 구경거리식 재난보도는 없어져야 한다"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기자 출신의 노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촉각을 다투는 재난 때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뤄진 한 건의 보도는 수천명의 목숨도 구할 수 있다"라며 "이제 언론은 재난보도를 전달하는 수동적 객체가 아니라 재난 예방부터 대응, 후속조치까지 이어지는 능동적 주체로서 전면에 나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문희상 국회의장 역시 축사를 통해 "재난방송이 달라지면 재난관리도 달라진다"라며 "위기가 발생했을 때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처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이고 발 빠르게 회복할 원동력도 된다"라고 밝혔다. 이에 정필모 KBS 부사장은 "지난 4월 강원 산불 당시 재난주관방송사로서 책무를 다하지 못했다"라고 인정한 뒤 "이후 전사적 역량을 동원해 재난방송 매뉴얼을 전면 개편하고 재난방송센터의 장비와 인력도 보강했다"라고 답했다.
이어 김현정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가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서 오늘날 재난보도가 재난 예방과 회복보다는 '사후 보도'에 급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발제를 위해 언론인, 공공기관 홍보담당자, 재난과 위기관리 연구자들을 심층 인터뷰했다. 김 교수는 "예방, 대비 같은 키워드가 들어간 기사보다는 '대응'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기사가 가장 많았다.
평소에는 재난 관련 보도를 하지 않다가 사고가 터지면 그때서야 대응상황을 주로 보도하는 언론의 관행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또 "복구와 회복 중에서도 복구가 더 많은 검색량을 보였다. 재난 이후에도 언론은 눈에 보이는 물질적 복구에만 관심을 두고 실제적으로 피해자의 심적, 육체적 회복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 현상"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이러한 보도 행태는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나 재난보도준칙 제정 이후로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여전히 사건 사고 중심 보도가 많고 재난 현장을 취재할 노련한 전문기자도 부족하다는 게 김 교수 주장이다.
다음 발제자로 나선 박성우 우송대 글로벌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기존 뉴스 미디어가 선호하는 시청자의 뉴스 읽기는 사건 발생 중심적 해독이었으나, 디지털 시대에는 맥락을 이해하는 해독으로 바뀌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페이스북 트렌딩 박스나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순위는 뉴스를 멀티플랫폼적 요소로 본다"라며 "취재와 보도가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유지, 통제, 강화될 수 있는 조건과 환경이 가장 중요한 현장성이 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재난보도가 특정 공영방송의 독점적 권위 유지보다는 지역, 시민, 단체, 현장, 독립 매체, 심지어 경쟁사 등과의 적극적인 연대와 협업으로 이뤄져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토론에는 정복덕 방송통신위원회 재난방송관리팀장, 김성한 KBS 재난방송센터 팀장, 노진철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 김여라 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이 참여했다.
정 팀장은 강원 산불을 계기로 20개 정부부처와 KBS가 참여하는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사회재난 방송 요청을 행정안전부로 일원화하는 방안, 방송사 재허가·승인 심사 시 재난방송 충실성 평가, 민관협업시스템 강화 등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김 팀장은 이에 "정부와 방송사가 늘 팽팽한 긴장관계를 유지하지만 재난 때는 신속한 정보가 필요하다.
양측의 신뢰 회복과 협업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노 교수는 "복구 시기에 대한 보도가 정치화된 재난에만 집중되는 게 문제"라고 짚었고, 김 조사관은 "재난보도 만큼은 기존 언론이 추구하는 경쟁식 저널리즘이 아니라 협력하는 저널리즘이 돼야 한다. 구경거리식 재난보도는 없어져야 한다"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