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TV] 경제 추락하는데 부동산만 괜찮을까?
입력
수정
'집'터뷰
홍춘욱 박사
▶최진석 기자
안녕하세요. 집코노미TV입니다. 사학도이면서 작가이자 이코노미스트이신 홍춘욱 박사님과 얘기 나누고 있습니다. 홍 박사님, 금리와 부동산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홍춘욱 박사
아주 편하게 얘기하겠습니다. 부동산시장의 가장 좋은 환경은 금리가 완만하게 인상될 때입니다. 그게 언제였냐면 2017~2018년입니다. 기억 나시죠?
▶최진석 기자
너무… 너무 뜨거웠던 거 아녜요?

금리가 1년에 한 번 정도 인상되는 시기가 부동산시장에서 제일 좋다는 예를 든 거예요. 당시 제가 언론 인터뷰에서 금리가 완만하게 인상되는 게 꼭 부동산시장의 악재로 볼 수는 없다고 말한 적이 있어요. 왜냐면, 금리를 인상하는 이유가 뭡니까? 물가가 오르거나 경기가 좋아졌을 때잖아요. 부동산도 사실 상품이에요. 물론 자리에 붙어서 이동을 못 하니까 부(不)를 붙여서 부동산(不動産)일 뿐이지 다른 동산과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의 함수인 건데, 물가도 오르고 경제도 좋아서 중앙은행이 마음 편하게 금리를 인상할 때가 부동산시장에도 좋다는 겁니다.

네 번째로, 제일 나쁜 건 공격적인 금리 인하입니다. 이건 말할 필요가 없죠. 한국은행이나 정부가 자백하는 것이죠. 경제성장률 전망이나 경제 위험관리에 실패했다고 말하는 셈이니까요.
백기 드는 거예요?
▷홍춘욱 박사
네, 백기를 드는 것이죠. 인플레고 뭐고보다 우선 자산시장 붕괴와 경기의 급격한 하강을 막기 위해 금리를 시급히 인하했던 시절도 있었어요. 그런 식으로 금리를 공격적으로 인하한다면 그 뒤에 좋아질진 모르죠. 그러나 일단 공격적 금리인하가 필요할 정도로 경제가 망가졌다면 부동산시장도 안 좋을 수밖에 없어요. 이렇게 정리를 해볼 수 있겠습니다.
▶최진석 기자
‘돈의 역사’를 집필하는 사학도이자 이코노미스트 홍춘욱 박사님과 얘기 나눠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획 집코노미TV 총괄 조성근 건설부동산부장
진행 최진석 기자 촬영 조민경 인턴PD 편집 이지현 인턴PD
제작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