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바뀌었다'를 '바꼈다'로 줄여 쓰는 건 잘못

맞춤법은 각각의 단어를 아는 것보다 원리원칙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앞에서 살폈듯이 어간의 모음 '이' 뒤에 어미 '-어'가 오면
'-여'로 줄어드는 게 우리말 일반 원칙이다.
“전화번호가 OOO-××××로 바꼈어요.” “그는 그녀와 중학교 때부터 사겼다고 한다.” “그 여자는 내 말에 콧방귀만 꼈다.” 이런 말에는 공통적인 오류가 들어 있다. ‘바꼈어요, 사겼다고, 꼈다’가 그것이다. 각각 ‘바뀌었어요, 사귀었다고, 뀌었다’를 잘못 썼다.

한글 모음자에 ‘ㅜ+ㅕ’ 없어 더 이상 줄지 않아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이들의 기본형은 ‘바뀌다, 사귀다, 뀌다’이다. 공통점은 어간에 모두 모음 ‘ㅟ’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뒤에 모음 어미 ‘-어’가 붙을 때 줄어들지 않는, 우리말의 독특한 모음 체계 한 가지를 보여준다.

얼핏 보기에 ‘바뀌+어→바껴’로 줄어들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모음끼리 어울려 ‘-여’로 바뀌는 것은 어간 ‘이’와 어미 ‘-어’가 결합할 때다(한글맞춤법 제36항). ‘가지어→가져, 견디어→견뎌, 막히어→막혀’ 같은 무수한 말들이 모두 그렇게 줄었다. 그러면 예의 ‘바뀌다, 사귀다’ 등에 어미 ‘-어’가 어울리면 어떻게 바뀔까? ‘~이어→~여’의 원리를 적용하면 ‘ㅟ어→(ㅜㅕ)’, 즉 ‘바(꾸ㅕ), 사(구ㅕ)’쯤 될 것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우리 모음 체계에는 이를 나타낼 글자가 없다. 컴퓨터 자판으로도 조합이 안 돼 두 글자로 써야 할 판이다.

이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당시부터 없던 것이다. 한글 자모는 자음 14개, 모음 10개로 24자다. 모음만 보면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이다. 이 10개 모음자로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세 개를 합쳐 적는데, 그것은 ‘애, 얘, 에, 예, 와, 왜, 외, 워, 웨, 위, 의’ 11자다(한글맞춤법 제4항). 즉 모음으로 적을 수 있는 글자는 모두 21개라는 뜻이다. 여기에 ‘ㅟ+어’가 어울려 생길 만한 ‘(ㅜㅕ)’란 글자는 없다. 결국 ‘바뀌어, 사귀었다, 뀌었다’ 등은 더 이상 줄어들지 않는다는 뜻이다. 표기할 글자가 없기 때문이다.물론 실제 발음상으로는 이를 줄여 말하곤 한다. 이런 모순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국어학계 일각에서는 “모음자 ‘ㅜㅕ’를 도입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이동석 한국교원대 국어교육과 교수. <말과글> 2017년 여름호)

‘적지 않다’가 줄면 ‘적쟎다’ 아닌 ‘적잖다’로

맞춤법은 각각의 단어를 아는 것보다 원리원칙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앞에서 살폈듯이 어간의 모음 ‘이’ 뒤에 어미 ‘-어’가 오면 ‘-여’로 줄어드는 게 우리말 일반 원칙이다. 그러다 보니 ‘귀찮다’도 ‘귀챦다’로 적는 것으로 아는 이가 꽤 있다. ‘귀하지 아니하다→귀치 않다→귀챦다’로 줄어든다는 것이다.이치상으로는 맞는 말이다. 실제로 현행 맞춤법(1988년)이 시행되기 전에는 그렇게 적었다. 하지만 지금은 틀린 표기다. ‘귀찮다’로 적어야 한다. 이는 줄어진 형태가 또 하나의 단어가 된 경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태여 그 원형과 결부시켜 준 과정의 형태를 밝힐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소리 나는 대로 ‘-잖다’ ‘-찮다’로 적기로 했다. 맞춤법 제39항에 나오는, 준말의 여러 규정 중 하나다. ‘같잖다, 달갑잖다, 마뜩잖다, 시답잖다, 어쭙잖다, 적잖다, 괜찮다, 변변찮다, 편찮다’ 등과 같은 말이 이 같은 원리로 단어가 돼 사전에 올랐다.

이 원리를 알고 있으면, 나머지 말들은 여기에 준해 쓰면 된다. 모든 단어를 사전에 올릴 수는 없기 때문이다. 가령 “두렵지 않다” “그렇지 않아”를 줄이면 ‘두렵잖다’ ‘그렇잖아’가 되는 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