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스, 우즈베크에 도로 인프라 '첫 삽'…중앙亞 시장도 눈독
입력
수정
지면A19
카리스의 우즈베키스탄 인프라 투자전략#인구 3300만 명의 중앙아시아 국가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 지난 22일 한국 중소기업 카리스와 우즈베키스탄 도로업무를 총괄하는 도로교통청의 합작회사인 ‘카리스 트란스 율쿠릴리시’ 공장 기공식이 교통청 청사에서 열렸다. 카리스는 면적 9900㎡의 공장 리모델링을 끝내는 대로 세계 최초로 개발한 폴리염화비닐(PVC) 가드레일을 생산, 우즈베키스탄 전역에 설치할 예정이다.
우즈베크와 합작사 설립
22일 PVC 가드레일 공장 기공식
대통령 전용도로 공사 수주
#타슈켄트에서 1시간30분의 비행에 이어 2시간여 차량 이동으로 도착한 자치공화국 카라칼파크스탄의 소도시 쿵그라드. 이곳엔 중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소듐을 생산하는 쿵그라드 소듐공장이 있다. 소듐은 유리와 타일 등의 원료로 쓰인다. 카리스는 소듐공장 인수를 위한 회계실사를 마쳤다.카리스가 경제 개발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에 본격 진출했다. 가시화된 우즈베크 합작사업의 큰 축은 도로 가드레일 설치와 소듐을 생산하는 화학공장 인수 등 두 개다. 중앙아시아 진출의 전초기지로 삼으려는 카리스와 경제성장률 연 5~6%대로 성장정체기를 맞은 우즈베크의 외자 유치 필요성 등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협상이 급물살을 탄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열린 카리스 트란스 율쿠릴리시 공장 기공식은 카리스 PVC 가드레일 사업의 첫 삽을 뜬 자리였다. 유철 카리스 회장과 카리스의 물류 계열사인 카리스국보의 하현 대표, 우즈베크 정부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합작회사는 카리스가 지분 80%, 우즈베크 도로교통청이 20%를 보유한다.유 회장은 “면적 9900㎡의 공장에 20개의 가드레일 생산설비를 갖출 계획”이라며 “이후 부지를 추가 확보해 9만9000㎡ 면적에 생산설비를 200라인까지 확보한다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르면 연내 공장을 준공하고 PVC 가드레일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카리스 측은 내다보고 있다.
대규모 도로공사 수주를 위한 실무접촉도 하고 있다. 우즈베크 정부는 경제개발 과정에서 도로 17만㎞를 신설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카리스는 약 4만㎞ 구간을 국내 대형 건설사와 컨소시엄을 이뤄 건설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카리스는 가드레일로 시작된 우즈베크 인프라 사업을 도로 건설 등 국가 기간산업으로 확장시키겠다는 전략이다.
2006년 가동을 시작한 이 공장은 연 20만t을 생산하는 중앙아시아의 유일한 소듐 공장이다. 이렇게 외진 곳에 공장이 들어선 것은 소듐 원료가 인근에 풍부하기 때문이다. 220㎞ 떨어진 자만사이광산에서 채취한 석회암과 60㎞ 떨어진 바르샤켈마스 암염광산에서 소금을 가져온다. 석회암 1.2t, 소금 1.6t을 물과 배합해 전기와 가스를 이용, 고온으로 끓이면 고순도 소듐 1t이 생산된다.
타슈켄트·쿵그라드=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