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내 첫 AI대학원 개설…선택과 집중으로 경쟁국 따라잡아야
입력
수정
지면A35
국내 첫 ‘인공지능(AI) 대학원’이 문을 열었다. KAIST가 지난 26일 개원식을 했고 고려대와 성균관대도 다음달부터 AI 석·박사 과정을 개설한다. AI 대학원은 4차 산업혁명 핵심인 AI 인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위기감에서 나왔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까지 국내 AI 석·박사급 인재 7200여 명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적으로 AI 인력 확보전이 치열하다. AI 선도 국가인 미국과 중국은 오래전부터 AI 인재 양성정책을 펴왔다. 경제는 물론이고 안보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해서다. 중국은 AI 단과대 50개를 설립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일본도 매년 25만 명의 AI 전문인력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 이제서야 AI 대학원 개설의 첫발을 뗐다. 기술 격차도 상당하다. 세계 AI 특허 중 미국이 47%, 중국과 일본이 각각 19%, 15%를 점하고 있다.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에 불과하다.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AI”라고 했다. 그만큼 AI 인재 육성이 시급하다. 정부는 AI 대학원을 여덟 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이지만 경쟁국에 비하면 부족하다. 대학원은 물론 학부에서도 AI 교육을 통해 융합형 인재 육성에 나설 필요가 있다. 우리가 강점을 갖는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적 사고도 필요하다. 정부가 치밀한 전략을 갖고 AI 정책을 추진해야 앞선 경쟁국을 따라잡을 수 있다.
인재 양성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데이터다. 데이터를 제대로 수집·활용할 수 없다면 아무리 우수한 인력과 인프라를 갖춰도 AI산업이 싹을 틔우기 힘들다. 외국산 소재·부품으로 완제품을 생산해온 제조업 상황이 AI 분야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산업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애써 키운 인재와 기술이 해외로 빠져나간다. 국회는 계류 중인 개인정보보호법 등 ‘데이터 3법’ 개정안을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 정부도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해관계자 설득에 적극 나서야 한다.
세계적으로 AI 인력 확보전이 치열하다. AI 선도 국가인 미국과 중국은 오래전부터 AI 인재 양성정책을 펴왔다. 경제는 물론이고 안보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해서다. 중국은 AI 단과대 50개를 설립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일본도 매년 25만 명의 AI 전문인력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 이제서야 AI 대학원 개설의 첫발을 뗐다. 기술 격차도 상당하다. 세계 AI 특허 중 미국이 47%, 중국과 일본이 각각 19%, 15%를 점하고 있다.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에 불과하다.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AI”라고 했다. 그만큼 AI 인재 육성이 시급하다. 정부는 AI 대학원을 여덟 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이지만 경쟁국에 비하면 부족하다. 대학원은 물론 학부에서도 AI 교육을 통해 융합형 인재 육성에 나설 필요가 있다. 우리가 강점을 갖는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적 사고도 필요하다. 정부가 치밀한 전략을 갖고 AI 정책을 추진해야 앞선 경쟁국을 따라잡을 수 있다.
인재 양성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데이터다. 데이터를 제대로 수집·활용할 수 없다면 아무리 우수한 인력과 인프라를 갖춰도 AI산업이 싹을 틔우기 힘들다. 외국산 소재·부품으로 완제품을 생산해온 제조업 상황이 AI 분야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산업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애써 키운 인재와 기술이 해외로 빠져나간다. 국회는 계류 중인 개인정보보호법 등 ‘데이터 3법’ 개정안을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 정부도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해관계자 설득에 적극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