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화이트리스트 배제 유감…원인 해결 없이 결과 못 뒤집어"
입력
수정
지면A10
靑 참모들, 앞다퉈 강한 유감
"신뢰 훼손…지소미아 유지 불가"
주한미군 위협 주장 동의 못해
안보공백 우려에도 선 그어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28일 청와대에서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 시행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1908/AA.20386792.1.jpg)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28일 브리핑에서 “당초 안보 문제와 수출규제 조치를 연계한 장본인은 일본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지적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일본이 지소미아 종료와 관련해 한국이 수출규제 조치를 안보 문제와 연계했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이다. 김 차장은 한·일 양국 갈등의 책임이 전적으로 일본에 있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우리를 신뢰할 수 없는 국가라고 두 번이나 언급하며 적대국 취급하고 있다”며 “기본 신뢰 관계가 훼손된 상황에서 지소미아를 유지할 명분은 없다”고 지적했다.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역시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일본 수출규제 대응 당·정·청 회의에서 “아베 총리는 ‘역사는 다시 쓸 수 없다’고 한다”며 “자신에게 써야 할 말을 한국 정부를 비난하는 표현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다만 “정부는 일본의 이율배반적 태도에 대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공은 일본에 넘어가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 역시 이날 기자와 만나 “무엇이든지 원인이 해결되지 않았는데 결과만 뒤집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8/AA.20385132.1.jpg)
청와대는 지소미아 종료가 주한 미군에 위협이 된다는 미국 내 반발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서 미국의 압박이 더 거세질 것이란 우려에는 “지소미아와 주둔 비용은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광복절 경축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언급했듯 일본은 우리가 내민 손을 잡아줄 것을 기대한다”며 협상 여지를 남겼다.
박재원/임락근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