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코링크PE 관련 금융계좌 추적 박차

前 제수 출국하려다 제지당해
딸 대학입시·웅동학원 의혹은
'공소시효 벽' 넘기 만만찮을 듯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관련 의혹에 대해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에 착수한 검찰은 조 후보자 일가의 사모펀드 관련 의혹과 딸의 의학전문대학원 장학금 특혜 의혹에 수사력을 집중할 전망이다.

29일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2부(부장 고형곤)는 압수물 분석과 함께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PE)의 돈 거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자 금융계좌를 추적하고 있다. 검찰은 코링크PE가 우회상장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정부 정책 및 관급공사 등에 대한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거나 허위 정보 공시로 주가를 조작한 사실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수사하고 있다.다만 코링크PE의 ‘실소유주’ 의혹을 받는 조 후보자의 5촌 조카와 코링크PE 대표 이모씨, 코링크PE가 투자한 2차전지회사 WFM의 전 대표 우모씨 등 세 명이 지난주 돌연 출국한 것으로 알려져 검찰이 강제수사의 타이밍을 놓친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대형 항공사 직원인 조 후보자 동생의 전처 조모씨는 이날 김해공항을 통해 출국하려다 법무부로부터 출국금지를 당했다. 조씨는 조 후보자 동생과 이혼하고도 조 후보자 일가와 거래해 ‘위장이혼’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조 후보자 딸의 고교, 대학 입시 관련 특혜 의혹과 웅동학원 관련 의혹은 ‘공소시효’의 벽을 넘기 쉽지 않다는 문제 때문에 수사의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린 상태다. 조 후보자 딸의 입시 관련 업무방해 혐의는 공소시효가 7년, 웅동학원의 재산처분 관련 횡령, 배임 혐의는 10년이다. 조 후보자 딸의 고교 입학 시기는 2007년, 대학 입학 시기는 2010년이고 웅동학원에서 조 후보자가 이사를 지내던 시기는 2008~2009년이다. 2016~2017년 발생한 사모펀드 관련 의혹은 공소시효로부터 자유롭고, 증거와 진술 등도 확보하기 쉬워 횡령, 배임, 자본시장법 위반 의혹 등을 입증하기도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검찰은 노환중 부산의료원장이 문재인 대통령 주치의 선정에 깊이 관여했다는 문건이 최근 나오면서 조 후보자와 노 원장, 주치의 간 관계에도 주목하고 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