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시아나항공 예비입찰 마감…인수전은 여전히 '안갯속'

애경·KCGI·미래에셋 '관심'…주요 대기업 '무관심' 혹은 '눈치작전'
"제2국적항공사 매력적인 매물" vs "재무구조 등 리스크 커 인수 꺼릴 것"
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을 찾기 위한 예비입찰 마감일인 3일 시장의 분위기는 아직도 비교적 차분하다.제2의 국적 항공사가 매물로 나온 만큼 눈독을 들이는 기업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지만, 본격적으로 인수전에 뛰어든 기업이 눈에 띄지 않을 정도다.

일부 기업이 관심을 보이지만, 최근 항공산업 전체가 각종 악재로 크게 위축되는 상황이어서 입찰 참가를 고민하던 기업들이 마지막까지도 손익을 저울질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호산업과 매각 주간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증권은 이날 오후 2시 아시아나항공 예비입찰을 마감한다.이번 매각은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주식 6천868만8천63주(지분율 31.0%·구주)와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하는 보통주식(신주)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를 통해 아시아나항공의 경영권을 잠재투자자에게 이전한다.

구주 인수대금은 4천500억원 수준이며 여기에 신주 발행액에 경영권 프리미엄(20∼30%)까지 얹으면 인수에 1조원 이상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여기에 에어서울, 에어부산, 아시아나IDT 등 6개 자회사까지 '통매각 방식'하는 것이 원칙이어서 매각 가격은 1조5천억원 안팎까지 늘어날 것으로 시장에서는 예상하고 있다.

통상의 경우처럼 금호산업과 CS증권은 이날 예비입찰 마감 후에도 입찰 참여자를 공개하지 않을 방침이다.

지금까지 직·간접적으로 아시아나항공 인수전에 관심을 보인 기업은 제주항공을 보유한 애경그룹과 사모펀드 KCGI 정도다.여기에 전날 미래에셋대우가 재무적투자자(FI)로서 인수전에 뛰어들기 위해 GS그룹과 현대산업개발 등과 컨소시엄 구성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막판 변수로 떠올랐다.

SK, CJ, 한화 등 주요 대기업 그룹이 아시아나 인수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시장은 예상했으나 이들은 예비입찰 당일까지도 '인수에는 관심이 없다'며 선을 긋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도 아시아나항공은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여전히 매력적인 매물로 꼽힌다.

규제산업으로 꼽히는 항공산업이 그 특성상 신규 진입이 어려운 분야인 데다가 아시아나항공이 지난 30년간 쌓아온 노하우도 짧은 시간 안에 구축하기 어려운 자산이라는 평가다.

최근 일본 여행 보이콧 운동과 중국의 신규 운수권 제한, 국내 항공산업의 공급과잉 등이 악재로 꼽히지만, 이 같은 '위기'도 항공업계에는 낯선 일이 아니라는 말도 나온다.

과거 2011년 동일본대지진,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사태, 2017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 논란 등 위기가 상존했지만, 이런 위기 속에도 항공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국내 항공 이용객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6% 증가한 6천156만명을 기록하는 등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아시아나의 불안한 재무구조가 입찰을 고민하게 만든다는 분석도 있다.

2분기 기준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는 총 9조5천988억원 규모로, 새 주인이 신주 인수를 통해 자금을 투입하더라도 적지 않은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아시아나가 보유한 항공기 86대 중 12대를 제외한 대부분이 리스(임대) 항공기여서 재무적인 압박이 심한 구조라는 지적도 있다.

아시아나가 현재 리스계약에 따라 1년 안에 지급해야 할 운용리스료만 9천억원에 육박한다.
인수전 흥행에 관해 재계에서는 엇갈린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아시아나가 불안한 재무구조를 가졌지만, 여전히 투자 관점에서는 매력적인 매물"이라며 "주요 대기업들이 내부적으로 인수를 검토하면서도 인수가격을 높이지 않으려 외부적으로는 관심을 드러내지 않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결국 흥행하는 M&A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아시아나 인수에 관심이 있는 기업 입장에서는 이번 인수전은 급한 것이 없는 게임이다.유찰 상황까지도 가정하면서 가장 합리적인 비용으로 아시아나를 가져오려 할 것이고, 항공산업 위기 등 리스크도 있기 때문에 인수전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한 기업도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