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지사 "제주공항 확장안 부적합" 입장 피력
입력
수정
제2공항 공개 토론회…제주도-반대 측 입장차 재확인
원희룡 제주지사가 제주공항 확장안 채택은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다시 한번 피력했다. 제주도와 제주 제2공항 성산읍 반대대책위원회(이하 반대위)는 4일 오후 KBS 제주방송총국 스튜디오에서 제2공항 2차 공개방송 토론회를 열었다.
이 토론회는 제주도와 반대위가 실무협의를 거쳐 두 차례 열기로 합의한 제2공항 공개토론회의 마지막 자리다.
이날 제주도 측 토론자로는 원희룡 지사가, 반대 측에서는 박찬식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상황실장이 참여했다.
양측은 공항 인프라 확충 필요성과 대안, 갈등 해결 방안 등의 쟁점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원 지사는 제주공항 혼잡에 따른 문제점과 균형 발전, 미래에 발생할 공항 수요 등을 이유로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지역에 제2공항 건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기존 제주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은 적합성 정도가 크게 떨어져 추진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제주 공항 인프라 사전 타당성 용역에서 현재 활주로에서 바다 방향으로 1.3㎞ 이격해 별도의 활주로(동·서 방향)를 건설하는 제주공항 확장 방안을 검토했지만, 적정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최종 대안에서 탈락시켰다.
원 지사는 또 제2공항 건설은 전문가끼리도 의견이 극과 극을 달리는 상황으로, 도민 공론화 조사로 추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현재 도민 사회 곳곳에서 나오는 여러 목소리를 모아 정부에 제시하고, 제2공항에 대해 전문가 검증 기회를 더 달라고 요청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반면, 박 상황실장은 입지선정 과정에서의 절차적 정당성 부족, 미래 예측수요에 대비한 제주공항의 활용 방안 등을 부각하며 제2공항 건설을 반대했다.
또 2016년 원 지사가 취임 후 제시한 제주미래비전을 근거로 들면서 제2공항을 둘러싼 도민사회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도민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미래비전에 따르면 중앙정부나 제주도 차원에서 추진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지역개발사업과 공공정책은 적어도 6개월 이상의 사회적 공론화 과정이나 합의를 거쳐야 한다.
결국 이날 토론회는 앞서 지난달 28일 열린 1차 토론회와 마찬가지로 80분 동안 양측간 입장차만 확인한 채 종료됐다. dragon.
/연합뉴스
원희룡 제주지사가 제주공항 확장안 채택은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다시 한번 피력했다. 제주도와 제주 제2공항 성산읍 반대대책위원회(이하 반대위)는 4일 오후 KBS 제주방송총국 스튜디오에서 제2공항 2차 공개방송 토론회를 열었다.
이 토론회는 제주도와 반대위가 실무협의를 거쳐 두 차례 열기로 합의한 제2공항 공개토론회의 마지막 자리다.
이날 제주도 측 토론자로는 원희룡 지사가, 반대 측에서는 박찬식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상황실장이 참여했다.
양측은 공항 인프라 확충 필요성과 대안, 갈등 해결 방안 등의 쟁점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원 지사는 제주공항 혼잡에 따른 문제점과 균형 발전, 미래에 발생할 공항 수요 등을 이유로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지역에 제2공항 건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기존 제주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은 적합성 정도가 크게 떨어져 추진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제주 공항 인프라 사전 타당성 용역에서 현재 활주로에서 바다 방향으로 1.3㎞ 이격해 별도의 활주로(동·서 방향)를 건설하는 제주공항 확장 방안을 검토했지만, 적정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최종 대안에서 탈락시켰다.
원 지사는 또 제2공항 건설은 전문가끼리도 의견이 극과 극을 달리는 상황으로, 도민 공론화 조사로 추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현재 도민 사회 곳곳에서 나오는 여러 목소리를 모아 정부에 제시하고, 제2공항에 대해 전문가 검증 기회를 더 달라고 요청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반면, 박 상황실장은 입지선정 과정에서의 절차적 정당성 부족, 미래 예측수요에 대비한 제주공항의 활용 방안 등을 부각하며 제2공항 건설을 반대했다.
또 2016년 원 지사가 취임 후 제시한 제주미래비전을 근거로 들면서 제2공항을 둘러싼 도민사회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도민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미래비전에 따르면 중앙정부나 제주도 차원에서 추진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지역개발사업과 공공정책은 적어도 6개월 이상의 사회적 공론화 과정이나 합의를 거쳐야 한다.
결국 이날 토론회는 앞서 지난달 28일 열린 1차 토론회와 마찬가지로 80분 동안 양측간 입장차만 확인한 채 종료됐다. dragon.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