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서울 초3·중1 학기초 '기초학력' 시험 본다(종합)
입력
수정
읽기·쓰기·셈하기·교과학습능력 평가…결과 보호자 통지
조희연 "학생들 문해 능력에 심각한 문제…최소한 지적성장하도록 노력" 내년부터 서울 초등학교 3학년생과 중학교 1학년생 모두가 학기 초 기초학력을 평가받는다. 서울시교육청이 5일 발표한 학생 기초학력 보장방안을 보면 내년부터 서울 초등학교 3학년생과 중학교 1학년생은 학기가 시작하는 3월 중 표준화된 도구로 기초학력진단평가를 받아야 한다.
초등학교 3학년생은 읽기·쓰기·셈하기 능력, 중학교 1학년생은 읽기·쓰기·셈하기 능력에 더해 국어·영어·수학 교과학습능력을 평가받는다.
평가는 학교별로 3월 중 적당한 날을 골라 진행되며 진단 결과는 평소 학습태도 등에 대한 분석과 함께 보호자에게 통지된다. '표준화된 진단 도구'는 서울기초학력지원시스템(s-basic.sen.go.kr)상 기초학력진단 도구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개발한 도구 등에서 학교가 선택한다.
학교가 자체 개발한 도구를 써도 된다,
서울기초학력지원시스템상 기초학력진단 도구는 초등학교 3학년생부터 고등학교 1학년생까지를 대상으로 학습 부진자를 파악하고자 개발됐다.
보기 중 답을 고르는 선다형과 단답형으로 구성되며 온라인으로 응시하거나 시험지 형태로 출력해 풀 수 있다. 문항은 문제은행식으로 출제된다. 초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1학년 외 다른 학년에서는 현재처럼 교사나 학교가 자율적으로 학습 부진자를 파악한다.
교육청 관계자는 "초등학교 3학년은 '고학년'으로 넘어가는 시기고 중학교 1학년은 학교급이 바뀌어 학업 난도가 급상승하는 시기"라면서 "중요한 시기인 만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 도구로 학습 부진자를 파악해 학습 부진이 누적되지 않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올해 3월 교육부도 내년부터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모든 학생의 기초학력을 진단하겠다는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일제고사 부활'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교육부가 전수평가를 하기로 한 것은 작년 중학교 3학년생과 고등학교 2학년생 중 일부를 표집해 진행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기초학력 미달 학생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수학은 중학생 11.1%와 고등학생 10.4%, 국어는 중학생 4.4%와 고등학생 3.4%, 영어는 중학생 5.3%와 고등학생 6.2%가 기초학력에 못 미쳤다.
고등학교 국어를 빼면 모두 전년보다 기초학력 미달률이 높아졌다.
서울시교육청은 기초학력진단 결과가 학교 밖으로 유출돼 '학교 서열화' 등에 악용되지 않게 교원·학부모단체가 참여하는 정책모니터위원회를 운영한다.
또 특정 진단도구를 쓰도록 강요하거나 결과를 제출받아 학교별로 비교하지도 않겠다고 밝혔다.
교육청은 중학생 대상으로 '단위학교 기본학력 책임지도제'를 운영할 계획이다.
중학생 기본학력은 '우리말 기본문장을 이해하고 영어로 된 짧은 문장을 읽을 수 있으며 분수를 계산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교육청은 중학생들이 졸업 전까지 반드시 기본학력을 갖추게 각 학교에 교사와 상담사,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다중지원팀'을 구성하고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초등학교 2학년 때 '집중학년제'를 운영해 학습 부진을 예방하기로 했다.
올해는 전체 공립초등학교의 약 30%인 168개교(약 830학급)에 도서구입비 등을 학급당 50만원씩 지원하며 대상을 점차 확대해 2023년에는 모든 공립초에 같은 액수를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청은 한 수업에 교사 2명이 들어가는 '1수업 2교사제' 운영학교도 현재 13개교(16명)에서 내년 15개교(20명)로 확대한다.
교육대학생 등 예비교사를 보조 교사로 활용하는 '대학생 협력 강사제'도 대학과 협의를 거쳐 이르면 내년 시행한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학생들의 문해 능력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면서 "학생들이 사회적 삶을 영위할 수 있게 최소한 지적성장을 이루게 한다는 공교육 핵심과제에 공백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보완하고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조희연 "학생들 문해 능력에 심각한 문제…최소한 지적성장하도록 노력" 내년부터 서울 초등학교 3학년생과 중학교 1학년생 모두가 학기 초 기초학력을 평가받는다. 서울시교육청이 5일 발표한 학생 기초학력 보장방안을 보면 내년부터 서울 초등학교 3학년생과 중학교 1학년생은 학기가 시작하는 3월 중 표준화된 도구로 기초학력진단평가를 받아야 한다.
초등학교 3학년생은 읽기·쓰기·셈하기 능력, 중학교 1학년생은 읽기·쓰기·셈하기 능력에 더해 국어·영어·수학 교과학습능력을 평가받는다.
평가는 학교별로 3월 중 적당한 날을 골라 진행되며 진단 결과는 평소 학습태도 등에 대한 분석과 함께 보호자에게 통지된다. '표준화된 진단 도구'는 서울기초학력지원시스템(s-basic.sen.go.kr)상 기초학력진단 도구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개발한 도구 등에서 학교가 선택한다.
학교가 자체 개발한 도구를 써도 된다,
서울기초학력지원시스템상 기초학력진단 도구는 초등학교 3학년생부터 고등학교 1학년생까지를 대상으로 학습 부진자를 파악하고자 개발됐다.
보기 중 답을 고르는 선다형과 단답형으로 구성되며 온라인으로 응시하거나 시험지 형태로 출력해 풀 수 있다. 문항은 문제은행식으로 출제된다. 초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1학년 외 다른 학년에서는 현재처럼 교사나 학교가 자율적으로 학습 부진자를 파악한다.
교육청 관계자는 "초등학교 3학년은 '고학년'으로 넘어가는 시기고 중학교 1학년은 학교급이 바뀌어 학업 난도가 급상승하는 시기"라면서 "중요한 시기인 만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 도구로 학습 부진자를 파악해 학습 부진이 누적되지 않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올해 3월 교육부도 내년부터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모든 학생의 기초학력을 진단하겠다는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일제고사 부활'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교육부가 전수평가를 하기로 한 것은 작년 중학교 3학년생과 고등학교 2학년생 중 일부를 표집해 진행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기초학력 미달 학생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수학은 중학생 11.1%와 고등학생 10.4%, 국어는 중학생 4.4%와 고등학생 3.4%, 영어는 중학생 5.3%와 고등학생 6.2%가 기초학력에 못 미쳤다.
고등학교 국어를 빼면 모두 전년보다 기초학력 미달률이 높아졌다.
서울시교육청은 기초학력진단 결과가 학교 밖으로 유출돼 '학교 서열화' 등에 악용되지 않게 교원·학부모단체가 참여하는 정책모니터위원회를 운영한다.
또 특정 진단도구를 쓰도록 강요하거나 결과를 제출받아 학교별로 비교하지도 않겠다고 밝혔다.
교육청은 중학생 대상으로 '단위학교 기본학력 책임지도제'를 운영할 계획이다.
중학생 기본학력은 '우리말 기본문장을 이해하고 영어로 된 짧은 문장을 읽을 수 있으며 분수를 계산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교육청은 중학생들이 졸업 전까지 반드시 기본학력을 갖추게 각 학교에 교사와 상담사,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다중지원팀'을 구성하고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초등학교 2학년 때 '집중학년제'를 운영해 학습 부진을 예방하기로 했다.
올해는 전체 공립초등학교의 약 30%인 168개교(약 830학급)에 도서구입비 등을 학급당 50만원씩 지원하며 대상을 점차 확대해 2023년에는 모든 공립초에 같은 액수를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청은 한 수업에 교사 2명이 들어가는 '1수업 2교사제' 운영학교도 현재 13개교(16명)에서 내년 15개교(20명)로 확대한다.
교육대학생 등 예비교사를 보조 교사로 활용하는 '대학생 협력 강사제'도 대학과 협의를 거쳐 이르면 내년 시행한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학생들의 문해 능력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면서 "학생들이 사회적 삶을 영위할 수 있게 최소한 지적성장을 이루게 한다는 공교육 핵심과제에 공백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보완하고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