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본 수소전기차 기술 앞서…주도권 놓고 각축
입력
수정
지면S5
Cover Story - 청와대서 달리는 수소전기차수소전기차는 인프라 확충만 잘 이뤄지면 전기차를 대체해 친환경차 시장의 주요 성장 축이 될 가능성이 높은 분야다. 세계 각국이 수소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여러 정책 지원을 추진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수소전기차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국경을 넘나드는 경쟁은 현재 진행형이다.
중국은 시장·독일은 수소연료 우세…미국도 박차
수소전기차 기술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받는 국가는 한국과 일본이다. 현대자동차와 도요타자동차 등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활발한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각국 정부는 기업의 기술 개발 행보에 발맞춰 수소전기차 정책 드라이브에 시동을 걸고 있다.중국과 독일, 미국 등 다른 주요 산업국도 수소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한 정책 정비를 서두르고 있다. 특히 중국은 전기차 시장을 선도한 경험과 세계 최대 자동차 내수시장을 앞세워 물량 공세를 통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 독일과 미국 또한 이미 보유한 선진적 재생에너지 인프라 등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일본, 2020년 올림픽을 수소차 확산의 계기로
아베 신조 일본 정부는 2017년부터 수소전기차를 비롯한 수소경제 활성화 전략을 주요 산업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내년 열릴 도쿄올림픽을 기점으로 이를 본격 공표할 계획이다. 지난 6월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도 일본 주도로 수소경제와 수소연료, 수소전기차 개발 등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뤄졌다.
일본은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보유 대수를 승용차 80만 대, 상용차 1200대로 계획하고 있다. 수소 충전소도 900개 이상 건설할 계획이다. 일본은 수소 확보를 위해 국내외에서 적극적인 생산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후쿠시마에서는 수전해를 이용한 수소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호주 정부와 협업해 석탄을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를 수소차의 연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중국, 전기차 노하우 활용한 물량 공세중국은 과거 전기차 분야에서 그랬듯 수소차에서도 시장을 선도하는 국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기준 수소전기차 보급이 60대에 그쳤지만, 2030년에는 이를 100만 대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 계획의 일환으로 수소전기차 한 대에 최대 70만위안(약 1억1800만원·상용차 기준)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또 내년엔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고 수소전기차 구매에 따른 보조금 지급을 확대해 2025년까지 지속할 계획이다.중국은 수소 충전소 인프라 확충에도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중국은 자국의 철강, 화학 공장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수소 가스의 집적률을 높여 수소 연료 확충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중국이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수소연료전지 기술력에 대해서는 해당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의 지분을 매입하는 식으로 돌파할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과 미국, 선진 인프라·제도 활용 추진
유럽에서 수소전기차 전략을 주도하고 있는 나라는 독일이다. 독일은 올 들어 수소전기차 200대를 처음 도입했지만 수소 충전소는 그 전부터 이미 50개를 확보했다. 독일 정부는 수소 충전소를 내년까지 400개, 2030년에는 1000개까지 확충할 방침이다. 독일은 수소차 관련 기술력 면에서는 한국과 일본에 뒤져 있지만, 수소연료 등 재생에너지 생산 인프라 측면에서는 우세하다는 평이다. 자동차 생산 관련 인프라도 탄탄해 적절한 정책 지원만 뒷받침되면 수소차 시장을 단숨에 선점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의 서부 캘리포니아 지역은 현재 기준 세계 최대 수소차 시장이다. 캘리포니아 주정부가 친환경 기술 우대 정책을 적극 펼치고 있어서다. 캘리포니아는 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 대 보급과 수소 충전소 1000개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2045년까지 모든 자동차를 친환경차로 바꾸겠다는 ‘100% 클린에너지’ 선언을 지난해 내놨다. 시장 전문가들은 캘리포니아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소연료전지 발전설비 보급을 적극 확대하는 방안이 필수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NIE 포인트세계 주요국이 수소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자.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미래차 전략을 살펴보고 이에 대해 토론해보자. 한국 수소차산업을 육성하려면 어느 국가의 정책을 참고하는 게 좋을지 생각해보자.
정연일 한국경제신문 국제부 기자 ne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