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중앙은행 "무역 불확실성 탓 미국·세계 GDP 내년까지 1% 감소"
입력
수정
美 GDP 240조원·글로벌 GDP 1천19조원 감소
"올해 5월 무역 긴장 고조되지 않았다면 GDP 감소 완화했을 것"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통상정책으로 발생하는 불확실성 때문에 미국과 세계 경제가 입을 타격이 얼마인지에 대한 권위 있는 분석이 나왔다.그간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이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연구한 사례는 많았으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불확실성의 경제적 손실을 계량화한 것은 처음이다.
연준의 연구 보고서는 작년부터 시작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국과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내년 초까지 각각 1%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고 로이터 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 추산에 따르면 미국의 GDP가 약 20조 달러, 세계 GDP가 약 85조 달러 규모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줄어드는 GDP의 1%는 각각 2천억 달러(239조7천억원)와 8천500억 달러(1천18조7천억원)에 달한다.보고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급격히 고조된 시기가 작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올해 2분기 등 두 시기로 구분된다고 지적했다.
이들 불확실성의 충격은 중국을 비롯해 멕시코, 캐나다, 유럽연합(EU) 등을 상대로 펼친 호전적 무역정책 때문에 발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작년 초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같은 해 5월에는 중국, 멕시코, 캐나다, EU를 상대로 고율관세를 위협해왔다.미국 정부는 올해 5월에는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했다.
보고서는 작년 상반기에 발생한 첫 번째 충격으로 인해 글로벌 GDP는 올해 상반기까지 약 0.8% 감소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올해 5월과 6월에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지 않았다면 감소한 GDP는 향후 완화하기 시작했을 것"이라며 "하지만 올해 5월부터 재개된 불확실성으로 인해 올해 하반기와 내년까지 GDP에 추가적인 파급효과가 발생하게 됐다"고 지적했다.연구자들은 무역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추산하기 위해 신문 기사와 올해 1분기까지 총 4개 분기 동안 미국 기업 1천500여곳의 실적 발표 당시 발언 기록에서 무역 불확실성과 관련된 단어의 언급 횟수를 조사했다.
이를 토대로 '리스크', '위협', '불확실성', '관세', '수입 장벽' 등 무역 불확실성 관련 단어 언급이 많아졌을 때 미국과 글로벌 각국의 산업 생산과 세계 수입, 미국 주가, 달러 인덱스 등 경제 지표의 동향을 살펴 무역 불확실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산출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추산에 어느 정도의 오차는 있을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높은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GDP와 투자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렸다.보고서는 "높은 불확실성은 기업들의 투자 연기, 고용 감소, 소비자 심리 위축과 지출 감소를 유발한다"며 "궁극적으로는 전 세계의 경제활동을 저해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올해 5월 무역 긴장 고조되지 않았다면 GDP 감소 완화했을 것"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통상정책으로 발생하는 불확실성 때문에 미국과 세계 경제가 입을 타격이 얼마인지에 대한 권위 있는 분석이 나왔다.그간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이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연구한 사례는 많았으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불확실성의 경제적 손실을 계량화한 것은 처음이다.
연준의 연구 보고서는 작년부터 시작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국과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내년 초까지 각각 1%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고 로이터 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 추산에 따르면 미국의 GDP가 약 20조 달러, 세계 GDP가 약 85조 달러 규모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줄어드는 GDP의 1%는 각각 2천억 달러(239조7천억원)와 8천500억 달러(1천18조7천억원)에 달한다.보고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급격히 고조된 시기가 작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올해 2분기 등 두 시기로 구분된다고 지적했다.
이들 불확실성의 충격은 중국을 비롯해 멕시코, 캐나다, 유럽연합(EU) 등을 상대로 펼친 호전적 무역정책 때문에 발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작년 초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같은 해 5월에는 중국, 멕시코, 캐나다, EU를 상대로 고율관세를 위협해왔다.미국 정부는 올해 5월에는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했다.
보고서는 작년 상반기에 발생한 첫 번째 충격으로 인해 글로벌 GDP는 올해 상반기까지 약 0.8% 감소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올해 5월과 6월에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지 않았다면 감소한 GDP는 향후 완화하기 시작했을 것"이라며 "하지만 올해 5월부터 재개된 불확실성으로 인해 올해 하반기와 내년까지 GDP에 추가적인 파급효과가 발생하게 됐다"고 지적했다.연구자들은 무역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추산하기 위해 신문 기사와 올해 1분기까지 총 4개 분기 동안 미국 기업 1천500여곳의 실적 발표 당시 발언 기록에서 무역 불확실성과 관련된 단어의 언급 횟수를 조사했다.
이를 토대로 '리스크', '위협', '불확실성', '관세', '수입 장벽' 등 무역 불확실성 관련 단어 언급이 많아졌을 때 미국과 글로벌 각국의 산업 생산과 세계 수입, 미국 주가, 달러 인덱스 등 경제 지표의 동향을 살펴 무역 불확실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산출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추산에 어느 정도의 오차는 있을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높은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GDP와 투자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렸다.보고서는 "높은 불확실성은 기업들의 투자 연기, 고용 감소, 소비자 심리 위축과 지출 감소를 유발한다"며 "궁극적으로는 전 세계의 경제활동을 저해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