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말리는 드론](상) 잇단 드론 출몰에 국가보안시설 상공 관리 '진땀'
입력
수정
원전·공항·군부대·청와대도 화들짝…해외선 실제 피해 잇따라 국가 주요 보안 시설과 비행금지구역에 드론이 불법적으로 비행하는 일이 잇따르면서 보안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7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지난달 초 국가보안 시설 '가'급인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일대에 정체를 알 수 없는 드론 추정 비행체가 며칠에 걸쳐 잇따라 출몰하는 일이 발생했다.
원전 주변 반경 18㎞ 이내는 현행법상 비행이 제한된다.
지난달 12일에 4대가, 13일과 17일에는 각각 1대의 드론 추정 비행체가 발견돼 군과 경찰이 수색에 나섰지만, 아직 정체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다. 이달 2일에는 전남 한빛원전에서 1㎞ 떨어진 곳에서도 드론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20분간 날아다녀 경찰이 수사에 나서기도 했다.
항공기 안전을 위해 반경 9.3㎞가 비행금지 구역인 부산 김해공항 주변에도 불법 드론이 상습적으로 출몰한다.
신라대학교 드론관제센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김해공항 비행금지 구역을 침범한 드론이 1천388대나 됐다. 황광명 신라대 공공안전정책대학원 교수는 "항공기가 드론과 충돌하면 기체가 심각하게 파손돼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있다"며 "체계적인 불법 드론 감시·대응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국가보안 시설인 부산 신항에서도 추락한 드론 장비가 2015년 발견됐다.
2015년 군부대인 해군작전사령부 반경 1㎞ 내에서도 소형 무인기가 날아다니다 발견된 사례가 3차례에 이른다. 2015년 국정감사에서는 청와대 주변 비행금지구역인 'P73A' 공역에 드론이 무단 진입해 당국의 제재를 받은 사례가 2014년 12건, 2015년 37건에 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해외에서는 드론으로 실제 피해가 잇따른다.
지난해 12월 영국 개트윅 공항, 올해 1월에는 영국 히스로 공항, 2월에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공항 그리고 3월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공항이 침입한 드론 때문에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는 일이 있었다.
2015년 드론이 미국 백악관 건물에 충돌하고, 같은 해 4월 일본 수상관저에는 원전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지역 모래를 담은 드론이 날아들어 오기도 했다.
드론은 점점 초소형화하거나 비행거리가 대폭 늘어나는 등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드론으로부터 국가 주요시설을 막을 '안티 드론' 구축체제는 이런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드론을 발견하고 탐지하더라도 드론을 격추하는데 필요한 장비 등이 현행법상 불법이어서 대응에 한계가 있는 경우도 있다.
/연합뉴스
원전 주변 반경 18㎞ 이내는 현행법상 비행이 제한된다.
지난달 12일에 4대가, 13일과 17일에는 각각 1대의 드론 추정 비행체가 발견돼 군과 경찰이 수색에 나섰지만, 아직 정체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다. 이달 2일에는 전남 한빛원전에서 1㎞ 떨어진 곳에서도 드론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20분간 날아다녀 경찰이 수사에 나서기도 했다.
항공기 안전을 위해 반경 9.3㎞가 비행금지 구역인 부산 김해공항 주변에도 불법 드론이 상습적으로 출몰한다.
신라대학교 드론관제센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김해공항 비행금지 구역을 침범한 드론이 1천388대나 됐다. 황광명 신라대 공공안전정책대학원 교수는 "항공기가 드론과 충돌하면 기체가 심각하게 파손돼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있다"며 "체계적인 불법 드론 감시·대응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국가보안 시설인 부산 신항에서도 추락한 드론 장비가 2015년 발견됐다.
2015년 군부대인 해군작전사령부 반경 1㎞ 내에서도 소형 무인기가 날아다니다 발견된 사례가 3차례에 이른다. 2015년 국정감사에서는 청와대 주변 비행금지구역인 'P73A' 공역에 드론이 무단 진입해 당국의 제재를 받은 사례가 2014년 12건, 2015년 37건에 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해외에서는 드론으로 실제 피해가 잇따른다.
지난해 12월 영국 개트윅 공항, 올해 1월에는 영국 히스로 공항, 2월에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공항 그리고 3월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공항이 침입한 드론 때문에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는 일이 있었다.
2015년 드론이 미국 백악관 건물에 충돌하고, 같은 해 4월 일본 수상관저에는 원전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지역 모래를 담은 드론이 날아들어 오기도 했다.
드론은 점점 초소형화하거나 비행거리가 대폭 늘어나는 등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드론으로부터 국가 주요시설을 막을 '안티 드론' 구축체제는 이런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드론을 발견하고 탐지하더라도 드론을 격추하는데 필요한 장비 등이 현행법상 불법이어서 대응에 한계가 있는 경우도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