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최대 IT전시회 독일 IFA서 펼쳐진 '한중일 삼국지'
입력
수정
삼성·LG 등 한국 기업은 기술·인기 '압도'…"전시회의 시작과 끝"
일본, 차관까지 공식행사 참석…중국, 최다기업 참가로 '대세' 주장독일 베를린에서 6~11일(현지시간) 열린 유럽 최대 가전·IT 전시회 'IFA 2019'에서는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북아 3국'의 존재감이 가장 두드러졌다.참가 기업 숫자는 물론 기술과 전시 규모 등에서도 미국과 유럽 주요 국가들을 압도하면서 'IFA 삼국지'라는 평가까지 나왔다.
특히 최근 업계의 최대 이슈인 8K 해상도의 초고화질 TV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의 분야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 소니, 파나소닉, TCL, 화웨이 등이 치열한 자존심 대결을 펼쳤다.
한국 기업들의 전시장에는 관람객이 대거 몰리면서 이번 행사에서 최고의 '인기 코스'로 떠올랐다.삼성전자가 처음 일반에 공개한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폴드' 코너에는 첫날부터 줄이 끊이지 않았고, LG전자 전시장 입구의 '올레드 폭포'에서는 관람객들의 탄성이 이어졌다.
TV와 생활가전 등 대부분 제품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다른 업체들과 현격한 기술 격차를 보이면서 국내외 기업 대표단의 '필수 견학 코스'가 됐으며,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메인 전시장 옆 건물인 '시티 큐브 베를린'을 통째로 빌려 최대 규모의 전시공간을 마련해 다른 업체들의 부러움을 샀다.
삼성전자는 가장 남쪽, LG전자는 가장 북쪽에 전시장을 두면서 일부 관람객은 "삼성과 LG가 이번 전시회의 '처음과 끝'"이라는 찬사를 내놓기도 했다.과거 글로벌 IT업계에서 최강국으로 꼽혔던 일본은 최근 TV·가전 시장에서 점유율은 물론 기술에서도 한국에 밀리면서 열세를 면치 못하자 올해 IFA에는 정부까지 나서 '승부수'를 던졌다.
주최 측이 주요 부대 행사 가운데 하나인 'IFA 넥스트(NEXT)'에서 올해 처음으로 시도한 '글로벌 혁신 파트너'의 첫번째 후원 국가로 참가한 것이다.
특히 경제산업성의 세키 요시히로(關芳弘) 부대신(차관급)과 니시야마 게이타(西山圭太) 상무정보정책국장 등 정부 고위 인사까지 공식 행사에 직접 참석하면서 일본 기업들을 '측면 지원'했다.한 국내 업체 관계자는 "최근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 규제 '횡포'로 양국간 갈등 수위가 높아진 가운데 관할 부처의 차관급까지 행사장에 등장하면서 놀랐다"면서 "그만큼 조급함을 드러내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중국은 올해 IFA에서도 이른바 '인해전술'을 펼쳤다.
전체 1천900여개 참가 기업·단체 가운데 약 40%에 해당하는 780여개 업체가 '출전'하면서 전시장 어디에서든 중국 업체를 볼 수 있을 정도였다.
특히 화웨이의 리처드 위(余承東) 소비자부문 최고경영자(CEO)는 개막 기조연설을 했고, 주최 측이 발간한 'IFA 매거진' 개막일 에디션(Day 1 Edition)에 표지모델로도 등장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문장 한종희 사장이 현지 기자간담회에서 "중국 업체의 전시장을 가장 먼저 가보겠다"고 말하고, LG전자 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H&A) 사업본부장인 송대현 사장도 하이얼 등 중국 업체를 먼저 둘러보는 등 중국은 명실상부한 '떠오르는 별'로 인정받았다.그러나 중국 업체들이 '모방' 전략을 통해 한국 기업을 추격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뒤처진다는 게 이번 행사에 참여한 기업과 관람객들이 대체적인 평가였다.
/연합뉴스
일본, 차관까지 공식행사 참석…중국, 최다기업 참가로 '대세' 주장독일 베를린에서 6~11일(현지시간) 열린 유럽 최대 가전·IT 전시회 'IFA 2019'에서는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북아 3국'의 존재감이 가장 두드러졌다.참가 기업 숫자는 물론 기술과 전시 규모 등에서도 미국과 유럽 주요 국가들을 압도하면서 'IFA 삼국지'라는 평가까지 나왔다.
특히 최근 업계의 최대 이슈인 8K 해상도의 초고화질 TV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의 분야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 소니, 파나소닉, TCL, 화웨이 등이 치열한 자존심 대결을 펼쳤다.
한국 기업들의 전시장에는 관람객이 대거 몰리면서 이번 행사에서 최고의 '인기 코스'로 떠올랐다.삼성전자가 처음 일반에 공개한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폴드' 코너에는 첫날부터 줄이 끊이지 않았고, LG전자 전시장 입구의 '올레드 폭포'에서는 관람객들의 탄성이 이어졌다.
TV와 생활가전 등 대부분 제품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다른 업체들과 현격한 기술 격차를 보이면서 국내외 기업 대표단의 '필수 견학 코스'가 됐으며,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메인 전시장 옆 건물인 '시티 큐브 베를린'을 통째로 빌려 최대 규모의 전시공간을 마련해 다른 업체들의 부러움을 샀다.
삼성전자는 가장 남쪽, LG전자는 가장 북쪽에 전시장을 두면서 일부 관람객은 "삼성과 LG가 이번 전시회의 '처음과 끝'"이라는 찬사를 내놓기도 했다.과거 글로벌 IT업계에서 최강국으로 꼽혔던 일본은 최근 TV·가전 시장에서 점유율은 물론 기술에서도 한국에 밀리면서 열세를 면치 못하자 올해 IFA에는 정부까지 나서 '승부수'를 던졌다.
주최 측이 주요 부대 행사 가운데 하나인 'IFA 넥스트(NEXT)'에서 올해 처음으로 시도한 '글로벌 혁신 파트너'의 첫번째 후원 국가로 참가한 것이다.
특히 경제산업성의 세키 요시히로(關芳弘) 부대신(차관급)과 니시야마 게이타(西山圭太) 상무정보정책국장 등 정부 고위 인사까지 공식 행사에 직접 참석하면서 일본 기업들을 '측면 지원'했다.한 국내 업체 관계자는 "최근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 규제 '횡포'로 양국간 갈등 수위가 높아진 가운데 관할 부처의 차관급까지 행사장에 등장하면서 놀랐다"면서 "그만큼 조급함을 드러내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중국은 올해 IFA에서도 이른바 '인해전술'을 펼쳤다.
전체 1천900여개 참가 기업·단체 가운데 약 40%에 해당하는 780여개 업체가 '출전'하면서 전시장 어디에서든 중국 업체를 볼 수 있을 정도였다.
특히 화웨이의 리처드 위(余承東) 소비자부문 최고경영자(CEO)는 개막 기조연설을 했고, 주최 측이 발간한 'IFA 매거진' 개막일 에디션(Day 1 Edition)에 표지모델로도 등장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문장 한종희 사장이 현지 기자간담회에서 "중국 업체의 전시장을 가장 먼저 가보겠다"고 말하고, LG전자 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H&A) 사업본부장인 송대현 사장도 하이얼 등 중국 업체를 먼저 둘러보는 등 중국은 명실상부한 '떠오르는 별'로 인정받았다.그러나 중국 업체들이 '모방' 전략을 통해 한국 기업을 추격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뒤처진다는 게 이번 행사에 참여한 기업과 관람객들이 대체적인 평가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