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공격' 사우디 석유시설 가동중단에 국제유가 상승 우려

하루 570만 배럴 원유 생산에 차질…전 세계 산유량 5% 규모
사우디, 세계 주요 거점에 원유 비축해둬 영향 제한적일 수도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의 최대 석유 시설 두 곳이 14일(현지시간) 예멘 반군의 무인기(드론) 공격을 받아 가동이 잠정 중단됨에 따라 국제유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위성 사진에서도 검은 연기가 보일 정도로 화재 규모가 상당한 데다 사우디 당국이 일부 시설의 가동을 잠정 중단하기로 하면서 원유 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AP와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압둘아지즈 빈 살만 에너지장관은 이날 국영 SPA 통신을 통해 반군 공격을 받은 아브카이크와 쿠라이스 시설 두 곳을 일시적으로 가동 중단한다고 밝혔다.

압둘아지즈 장관은 이런 조치로 하루 570만 배럴 규모의 원유 생산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이는 전체 산유량의 절반이자, 전 세계 산유량의 5%에 해당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우디가 세계 최대 원유 수출국이라는 점에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WSJ은 생산시설 폐쇄로 하루 500만 배럴이 감소할 것이라며 이로 인해 전 세계적인 유가 상승이나 또 다른 주요 산유국인 이란의 영향력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특히 아브카이크 단지는 사우디의 최대 석유 탈황·정제 시설이라는 점에서 그 여파가 더욱 클 전망이다.

아브카이크 단지는 사우디 동부에 몰린 주요 유전에서 생산되는 원유를 탈황·정제해 수출항이나 국내 정유시설로 보내는 시설로, 하루 처리량이 사우디 전체 산유량의 70%에 해당하는, 700만 배럴에 이른다.

지난달 기준 석유수출국기구(OPEC)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사우디의 원유 생산량은 하루 980만 배럴이다.석유수출국기구(OPEC) 전문가인 시장조사업체 IHS의 로저 디완 부사장은 아브카이크 단지를 석유 수급 체제에 있어 "심장과 같다"며 이번 화재는 "심장마비가 일어난 셈"이라고 비유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다.

따라서 이 시설의 가동 중단 상태가 이어지면 세계 에너지 시장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제이슨 보르도프 컬럼비아대 국제에너지정책센터장은 "아브카이크 단지는 아마 세계 원유 공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설"이라며 "이 공격으로 유가가 뛸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중동의 지정학이 복수심을 안고 돌아와 원유 시장을 강타할 것이다.

모두 두려워하는 일이 벌어졌다"면서 피해가 커 시설 가동 중단이 길어지면 원유 수입국이 비축유에 손을 대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한 관계자는 예방 차원에서 일부 시설을 닫은 것일 뿐, 대부분은 수일 내에 다시 가동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람코 측도 CNN 비즈니스에 "며칠 내 생산량이 회복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아람코가 몇주 동안은 고객사에 차질없이 공급할 수 있을 정도의 원유를 비축해둔다는 점에서 시장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해석도 있다.

사우디는 자국 내에도 수백만 배럴의 원유를 비축해두고 있으며 네덜란드 로테르담과 일본 오키나와, 이집트 시디 케리르 등 주요 거점지역에 저장시설을 갖고 있다.

사우디 당국도 비축해둔 물량을 풀어 전 세계 원유 수급에 영향이 없도록 할 방침이라고 이 사안에 대해 잘 아는 관계자들은 전했다
국제사회도 시장의 동요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우디 정부와 공조해 발 빠르게 움직이는 모양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성명을 내고 "세계 원유 시장은 현재로선 재고가 충분해 공급은 잘 이뤄질 것"이라며 "현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사우디 당국, 주요 산유국과 수입국과 연락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미국 에너지부도 시장 혼란을 막기 위해 필요할 경우 비축된 재고를 풀겠다고 밝혔다.

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번 공격과 관련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통화했다.

백악관은 "오늘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 왕세자와 전화 통화를 하고 사우디의 자위권에 대한 그의 지지를 표명했다"며 통화 사실을 공개하고, "미국은 중대한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강력히 규탄한다"는 입장을 냈다.
한편 이번 화재는 아람코가 상장을 추진 중인 가운데 발생했다.

아람코는 역대 최대 규모로 예상되는 기업공개를 위해 최근 주관사를 선정했으며 이르면 11월 중 상장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WSJ은 사우디가 생산량을 하루빨리 회복시키지 못한다면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어 기업 공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