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꺼진 것 같은 이 TV가 바로 QLED 8K"…LG, 삼성 또 공개 저격
입력
수정
LG전자, 8K TV 공개 기술설명회 열어
"삼성 8K TV는 국제 기준치 미달"
"비싸게 팔면 제대로 된 제품 만들어야"
지난 7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가전전시회 'IFA 2019'에서 삼성전자의 QLED 8K TV를 겨냥해 "가짜 8K"라고 작심 비판한 LG전자가 다시 한 번 공개 저격했다.LG전자는 17일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8K TV 기술설명회'를 열고 "삼성전자는 소비자 기만을 멈추고 국제 규격에 걸맞은 제대로 된 8K TV를 내놓아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남호준 LG전자 HE연구소장(전무)은 "경쟁사는 액정표시장치(LCD) TV에 색 보정을 위한 퀀텀닷(QD) 필름을 붙여놓은 것을 QLED로 명명, 마치 스스로 빛을 내는(자발광) 완전한 QLED TV인 것처럼 오해의 소지를 만들었다"며 "피해는 비싼 값을 내고 8K TV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돌아간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삼성전자 QLED 8K TV는 화소 수만 충족했을 뿐, 화질이 국제 기준에 훨씬 못 미쳐 8K TV라고 불러선 안 된다고 거듭 주장했다. 한 마디로 '이론 화질'만 8K일뿐 '실제 화질'은 8K가 아니라는 것.이론적으로 8K TV의 해상도는 7680x4320으로 4K(3840x2160)의 4배 면적이다. 소비자가 이를 온전히 감상하려면 약 3317만개 화소가 모여 있어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화면을 가득 채운 화소 수가 아니라, 화소가 뿜어내는 화면의 품질 확보라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LG전자가 내세운 품질 기준은 국제 표준으로 쓰이는 '화질 선명도(CM)'다. CM(contrast modulation)은 국제디스플레이계측위원회(ICDM)가 해상도 표준규격 가운데 하나로 정한 측정 기준이다. 삼성전자 역시 ICDM의 회원사로 이곳에서 정한 표준규격을 준용해왔다.
LG전자는 이날 별도로 마련된 전시장에 자사 나노셀 8K TV와 삼성전자 QLED 8K TV를 나란히 배치한 뒤 공개 시연했다.
백선필 LG전자 TV상품전략팀장은 "나노셀 8K TV는 화질 선명도가 90%인 반면 경쟁사 제품은 12%에 불과하다"며 "QLED 8K TV는 ICDM이 정한 CM 최소 기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아예 8K 논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했다. ICDM은 화질 선명도 기준을 '최소 50%'라고 정했다.LG전자 주력 제품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기반으로 한 발광 소자가 스스로 빛을 내 별도 광원이 필요 없다. 발광다이오드(LED)와 백라이트(광원)가 필수인 LCD TV에 비해 빛이 옆으로 새는 현상 등이 없어 원색에 가까운 표현력을 낼 수 있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반면 LCD TV는 가격 경쟁력에서 OLED TV에 앞선다.
백 팀장은 "소비자가 전문가 수준으로 화질 선명도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해서 기준에 맞지 않는 TV를 내놓고 8K라고 주장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비싼 값을 지불하고 8K TV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는 그만큼의 가치를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