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케이블카 천국'
입력
수정
지면A35
알프스 산맥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숲의 나라’ 오스트리아에는 케이블카 노선이 2900여 개나 있다. 국토 면적이 8만3000여㎢로 한반도의 3분의 1 정도인 이 나라에서 연간 6600만 명의 관광객이 케이블카를 이용한다. 노약자, 장애인도 쉽게 산에 오를 수 있다. 관련 시장규모는 지난해 기준 14억유로(약 1조8700억원)에 이른다.
오스트리아의 절반 넓이인 스위스에도 케이블카 노선이 약 2500개 있다. 연방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660개 지역까지 케이블카가 설치돼 있다. 연간 이용객은 3200만 명, 시장 규모는 13억스위스프랑(약 1조5500억원)에 육박한다. 국토가 좁고 자원이 빈약한 스위스에서 케이블카는 관광산업의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환경 문제에 매우 까다로운 독일 또한 알프스산맥 인근의 바이에른주를 중심으로 160여 개의 케이블카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유럽 국가에는 케이블카 개설과 관련한 규제가 따로 없다. 산악 지역의 교통 편의와 관광 자원 개발을 위해 경제성만 있으면 케이블카 설치를 허용한다.
일본에서는 국립공원에 케이블카를 개설할 때 환경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그런데도 31개 국립공원의 27곳을 비롯해 70여 곳에 케이블카가 있다. 중국의 황산은 사방 어디에서든 케이블카로 오르내릴 수 있다. 영화 ‘아바타’의 배경이 된 장자제(張家界)의 케이블카 길이는 7455m에 이른다.
세계 각국이 케이블카를 통해 자연 보호와 관광객 유치란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리조트의 관광 곤돌라까지 합쳐 20곳밖에 없다. 10개 부처에서 20개 이상의 법률로 산지관광을 관리하는 ‘덩어리 규제’ 탓이다. 현실과 동떨어진 ‘책상머리 규제’만 풀어도 18만 명의 고용 창출과 239조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생긴다고 한다.오랜 세월을 끌어온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이 결국 좌초됐다. 주민들은 “케이블카 하나만 개통해도 지역경제가 달라진다”며 “이젠 ‘보전’ 아니면 ‘파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자”고 하소연한다. 그렇다고 자연을 훼손하자는 게 아니다. 환경파괴와 난개발, 특혜시비를 걱정하지만 ‘좋은 개발’은 오히려 환경을 보호하는 기능도 발휘한다. 우리나라 산의 77%가 보전산지로 각종 규제에 묶여 있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오스트리아의 절반 넓이인 스위스에도 케이블카 노선이 약 2500개 있다. 연방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660개 지역까지 케이블카가 설치돼 있다. 연간 이용객은 3200만 명, 시장 규모는 13억스위스프랑(약 1조5500억원)에 육박한다. 국토가 좁고 자원이 빈약한 스위스에서 케이블카는 관광산업의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환경 문제에 매우 까다로운 독일 또한 알프스산맥 인근의 바이에른주를 중심으로 160여 개의 케이블카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유럽 국가에는 케이블카 개설과 관련한 규제가 따로 없다. 산악 지역의 교통 편의와 관광 자원 개발을 위해 경제성만 있으면 케이블카 설치를 허용한다.
일본에서는 국립공원에 케이블카를 개설할 때 환경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그런데도 31개 국립공원의 27곳을 비롯해 70여 곳에 케이블카가 있다. 중국의 황산은 사방 어디에서든 케이블카로 오르내릴 수 있다. 영화 ‘아바타’의 배경이 된 장자제(張家界)의 케이블카 길이는 7455m에 이른다.
세계 각국이 케이블카를 통해 자연 보호와 관광객 유치란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리조트의 관광 곤돌라까지 합쳐 20곳밖에 없다. 10개 부처에서 20개 이상의 법률로 산지관광을 관리하는 ‘덩어리 규제’ 탓이다. 현실과 동떨어진 ‘책상머리 규제’만 풀어도 18만 명의 고용 창출과 239조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생긴다고 한다.오랜 세월을 끌어온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이 결국 좌초됐다. 주민들은 “케이블카 하나만 개통해도 지역경제가 달라진다”며 “이젠 ‘보전’ 아니면 ‘파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자”고 하소연한다. 그렇다고 자연을 훼손하자는 게 아니다. 환경파괴와 난개발, 특혜시비를 걱정하지만 ‘좋은 개발’은 오히려 환경을 보호하는 기능도 발휘한다. 우리나라 산의 77%가 보전산지로 각종 규제에 묶여 있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